LG그룹, 배터리‧AI‧바이오 등에 5년간 106조 투자...매년 1만 명 직접채용

2022-05-26     유성용 기자
LG그룹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2026년까지 국내에만 106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투자는 R&D, 최첨단 고부가 생산시설 확충, 인프라 구축 등에 투입된다. 투자액의 45%인 48조 원은 R&D에 투입된다.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지만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선제적 투자를 단행하기로 한 것이다.

LG는 배터리/배터리소재, 전장, 차세대 디스플레이, AI/Data, 바이오, 친환경 클린테크 등 미래성장 분야는 10년 이상을 내다보는 장기적 관점에서 선제 투자를 강화해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스마트가전, TV, 화학, IT/통신 등 기존 주력사업에서는 지속적이고 과감한 투자를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 각 사업을 챔피언으로 육성키로 했다.

가장 큰 투자처는 배터리/배터리소재, AI/Data, 바이오 등 미래성장 분야다. 43조원 선제 투자 하는데 이 중 절반에 가까운 21조 원을 투입해 국내를 R&D 핵심기지로 육성한다.

배터리와 배터리 소재 분야에 5년간 10조 원 이상을 투자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리더십을강화하기 위해 충북 오창공장에 추가로 투자해 원통형 배터리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전고체 전지, 리튬황전지 등 차세대 전지 개발에 주력하고, 배터리 리사이클 등 자원선순환 시스템 구축, 배터리 데이터를 활용한 진단 및 수명 예측 등의 BaaS(Battery asa Service) 플랫폼 사업과 같은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

LG화학은 양극재, 분리막, 탄소나노튜브 등 배터리 소재 분야에 2026년까지 1조7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세계 1위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 성장한다는 목표다.

현재 배터리 소재 육성을 위해 경북 구미에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고 있고, 기술력과 시장성을 갖춘 기업 대상으로 M&A, JV(조인트벤처) 등을 검토 중이다.

AI/Data 분야에서는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확보하고 대규모의 도전적R&D를 추진하기 위해 3조6000억 원이 투자된다. 2020년 그룹 차원의 AI연구 허브로 설립된 ‘LG AI연구원’을 중심으로 초거대 AI ‘EXAONE(엑사원)’ 및 AI 관련 연구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바이오 분야 혁신신약 개발을 위해서도 1조5000억 원 이상의 투자가 이뤄진다. LG화학은 세포 치료제 등 혁신신약을 개발하고 있으며, 임상개발 단계에 진입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LG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신재생 에너지 산업소재 등 친환경 클린테크 분야에 5년간 1조8000억 원을 투자한다. LG화학은 생분해성 고분자 플라스틱 등 성장하는 친환경 플라스틱 시장에 투자를 강화하고,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역량 강화 등 신규 사업 기회도 발굴하고 있다.

LG는 전자, 화학, 통신 등 주력사업을 고도화하고, AI, 바이오, 친환경 클린테크 등 미래성장 사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2026년까지 매년 약 1만 명을 직접 채용할 계획이다.

LG는 협력사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상생의 토대라 판단하고 협력사를 지속적으로 육성, 지원키로 했다. 이를 위해 계열사별로 국내 협력사의 스마트공장 확대, 신기술 개발, 해외시장 진출 등을 위한 협력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상생 생태계 구축을 위한 투자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LG 관계자는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고객가치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기업의 소임을 적극 실천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