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 "규제완화 중점, 시장교란·불공정행위 근절해야"

2022-06-07     김건우 기자
검찰 출신 첫 금융감독원 수장으로 임명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규제완화'와 '불공정행위 근절'을 키워드로 취임 일성에 나섰다. 

이 원장은 7일 오후에 열린 취임식에서 ▲금융시장 선진화 안정 도모 ▲금융소비자보호 ▲원활한 의사소통 등 3가지 금융감독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우선 빅테크, 가상자산 등 새롭게 제도권 금융영역으로 유입되는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강조했다. 

그는 "과거에는 익숙하지 않았던 개념인 메타버스, 빅테크, 가상자산 등은 이미 일상의 일부가 되었고 이에 수반하는 금융시장 변화는 현실이 된 상태"라며 "시장의 선진화와 민간의 혁신을 저해하는 요소는 없는지 차분히 점검해 제도적 측면뿐만 아니라 제도 외적인 측면에서의 규제도 함께 살피고 걷어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규제 완화'에 대한 메시지를 낸 점도 눈에 띄는 대목이었다. 

규제가 불가피한 영역에서는 합리성과 절차적 투명성을 확보해 예측 가능성을 부여함으로서 시장 참여자들의 혼란을 줄이고 규제 완화에 중점을 두면서도 금융시장 안정에도 주의를 기울이겠다는 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 원장은 소비자보호 영역에 있어서도 소홀함이 없어야 함을 강조했다. 그는 "피해 입고 소외된 금융소비자가 없는지 세심히 살펴야 한다"면서 "최근의 어려운 경제 여건을 고려하면 그 필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시장교란 행위에 대해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고 불공정거래 행위 근절을 통해 시장 질서에 대한 참여자들의 신뢰를 제고시켜 금융시장 활성화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언급한 점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이 원장이 검찰에서도 금융·경제 관련 수사를 한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향후 관련 사고 발생시 엄정한 대응에 나설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는 평가다.

마지막으로 이 원장은 금융기관 및 소비자와의 적극적인 소통도 주문했다. 

그는 "현장과의 교류를 통해 문제를 조기 감지해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피해와 불안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면서 "금융시장 선진화와 안정, 금융소비자 보호 등의 핵심 목표는 감독원의 독자적 대응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