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은 총재 "인플레이션 파이터로서 중앙은행 역할 중요"

2022-06-10     김건우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글로벌 물가상승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 파이터'로서 중앙은행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금리인상으로 취약계층에 단기적으로 어려움이 커질 수 있지만 시기를 놓쳐 인플레이션이 확산된다면 더 큰 피해가 야기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총재는 10일 오전에 열린 한국은행 창립 72주년 기념식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글로벌 물가상승 압력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파이터로서의 중앙은행 본연의 역할이 다시금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소비자물가가 2~3% 수준의 오름세를 나타내었을 당시 우리가 다른 나라 중앙은행보다 더 먼저 통화정책 정상화를 시작했다"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를 웃돌고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정상화 속도와 강도를 높여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더 이상 우리가 선제적으로 완화정도를 조정해 나가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성장과 물가의 불확실성이 큰 만큼 정책운용의 민첩성을 유지하면서도 경제상황 변화에 따른 유연성도 함께 높여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내부 구성원들에 대해서도 그동안 조직의 변화와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반영된 경영인사 혁신안이 마련되었다고 언급했다. 종전의 '수직적 내부지향적 조직문화'를 '수평적 외부지향적 조직문화'로 변화시켜야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어느 직급이든 격의 없이 서로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토론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한다"면서 "서로 존중하면서도 업무에 관한 한 계급장 떼고, 할말은 하는 조직문화를 만들어 조직내 집단지성이 효율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같이 노력하자"고 말했다.

이 총재는 특히 한국은행 정책 서비스의 최종 수요자는 내부가 아닌 외부의 경제주체들이라는 점에서 수요자 중심의 고객 마인드로 업무에 접근해야한다는 점도 제시했다.

그는 "수요자가 원하는 내용을 엄밀히 분석하고 정책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만 한국은행이 정책당국으로서 뿐 아니라 국가경제의 씽크탱크로서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