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파행 3주, 새 경제부지사 선임에도 꼬인 매듭 여전
2022-08-02 유성용 기자
경기도는 2일 염태영 전 수원시장을 신임 경제부지사로 선임했다. 7월 28일 취임한 김용진 전 부지사는 임명 하루 전인 27일 남종섭 민주당 대표와 곽미숙 국민의힘 대표와의 만찬에서 술잔을 던졌고, 원만한 마무리가 되지 않으면서 1일 사퇴했다.
일각에선 김 전 부지사 사퇴로 의장 선출, 상임위 구성 등으로 촉발된 양당의 갈등 봉합이 시작될 것이란 기대가 있었지만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김 지사는 “도의회 정상화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런 결론으로 마무리 지어진 것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추경안 처리 지연 등 도민의 삶을 볼모로 하는 도의회 파행은 이제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의 요구대로 김 전 부지사가 사퇴한 만큼 도의회의 정상화를 촉구한 것이다.
하지만 이번에도 김 지사가 경기도의회 교섭단체 국민의힘과 아무런 상의 없이 통보식 인사를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아무런 소통 없이 경제부지사가 임명됐다. 소통을 하자고 하면서 의회와 무엇을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 지사가 양당 대표와 만나 소통을 통해 얽힌 매듭을 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앞서 1일 성명서를 통해 “우리당의 반대를 무릎 쓰고 밀어붙인 경제부지사가 취임도 하기 전에 의회를 향해 폭력을 행사한 것은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아무런 준비 없이 민주당과 야합해 당선된 김동연 지시의 정치 밑천이 드러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경제부지사직 신설을 규정하고 있는 조례 개정안의 문제점을 지적해 왔고 문제점들에 대한 대책이 마련될 때까지 시행을 미룰 것을 강력히 요청해 왔다.
김 지사는 협치를 위해 상호간 신뢰와 이해관계 구축이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경기도청 대강당에서 열린 맞손토크에서 김 지사는 “낮은 단계의 정책 협치부터 시작해서 서로 신뢰와 이해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우선 문지방을 넘어가고 싶다”며 “그런 것들이 구축되면 그다음에 조금 더 높은 단계의 협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것을 자리 나눔이나 연정과 결부시켜서 어떤 자리를 어떻고 하는 얘기는 저는 지금으로서는 타당하지 않다”며 협치와 연정 사이에 선을 그었다.
곳곳에서는 경기도의회 갈등이 조속히 해결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도의회 파행으로 추경예산 집행이 늦어지면서 위기를 맞은 민생경제 대응을 위한 예산 집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소상공인과 도민 생활에 밀접한 영향이 있는 지역화폐는 경기도내 31개 시·군 중 수원·용인·성남·화성·김포 등 5곳에서 이미 재원이 소진된 상태다. 코로나19 등 위기로 문을 닫은 소상공인의 재기를 돕기 위한 ‘소상공인 사업정리’ 사업도 의회 파행으로 예산이 묶여 있다.
지난 1일 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 45명 중 38명은 국민의힘 초선의원들에게 “8월 임시회 개최를 열자”고 촉구했다.
남종섭 민주당 대표의원은 “국민의힘 요구 대로 김 부지사가 사퇴했다. 이제는 집행부 빼고 의회가 협상 마지노선을 정해놓고 원 구성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도내 시민단체와 경기도상인연합회, 경기도소상공인연합회 등은 추경안 신속 처리를 요구하고 있다. 경실련경기도협의회·경기복지시민연대 등 15개 단체로 구성된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파행에도 의원들이 받은 의정비에 대한 반환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