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태양광 대출 잔액 17조6000억 원...금감원 "연체율 높은 수준 아냐"

2022-10-07     김건우 기자
올해 8월 말 기준 금융권 태양광 대출 잔액이 17조6000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대출 부실 우려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현재까지 대출 연체율이나 고정이하여신비율 등은 높지 않은 수준이지만 정확한 건전성 상황은 정밀하게 들여본다는 입장이다.

7일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2017년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금융권 태양관 대출 취급액과 펀드 설정액은 22조7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올해 8월 말 기준 잔액은 17조6000억 원이었다.

대출잔액 기준 가장 많은 은행은 전북은행으로 1조48억 원에 달했고 KB국민은행(8593억 원), 광주은행(5244억 원), 신한은행(4470억 원), 하나은행(3884억 원) 순이었다. 

태양광 펀드 설정잔액의 경우 8월 말 기준 KDB인프라자산운용이 1조1952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교보악사자산운용(8646억 원), 신한자산운용(8051억 원) 순이었다. 

건전성 지표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8월 말 기준 태양광 대출 연체율은 평균 0.12%를 기록했다. 저축은행권이 0.39%로 가장 높았고 은행권이 0.09%로 가장 낮았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8월 말 기준 평균 0.22%를 기록했다. 저축은행(0.49%), 상호금융(0.34%), 은행(0.12%) 순으로 연체율이 높았다. 

금감원은 현재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은 높지 않은 수준이지만 대출만기가 장기이고 거치기간을 두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건전성 상황을 앞으로 더 지켜볼 예정이라는 입장이다.

태양광 펀드의 경우 8월 말 기준 환매중단된 펀드는 2개, 설정액은 총 50억 원 수준이었다. 태양광 펀드 역시 만기가 15~25년 내외라는 점에서 펀드 내 자산 부실 여부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다. 

금감원은 "태양광 대출 및 펀드의 리스크 및 자산건전성 현황을 보다 면밀히 점검하고 점검결과를 기초로 필요한 감독상의 조치를 할 예정"이라며 "태양광 대출·펀드와 관련해 유관기관 협조 요청이 있는 경우 법상 가능한 범위 내에서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