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경제 관련 조직 전면 내세워 조직개편...공정국 해체, 기능은 이어가
2022-10-26 유성용 기자
공정경제과, 조세정의과, 민생특별사법경찰단, 공정특별사법경찰단 등 공정국 산하 조직은 각각 흩어져 기능을 이어가게 됐다. 공정국은 전임 지사가 신설한 조직이다.
경기도는 26일 미래성장산업국과 사회적경제국, 축산동물복지국 신설 및 개편 등의 내용을 담은 민선8기 조직개편안을 입법 예고하고 경기도의회 심의를 받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민선8기 핵심 공약 달성을 위한 체제 정비, 그리고 전임 지사 색채 지우기 등 두 토끼를 한 번에 잡으려는 모습이다.
류인권 경기도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조직개편안은 ‘더 많은 기회, 더 고른 기회, 더 나은 기회’라는 민선8기 경기도 3대 비전 실현을 위해 주요 공약 조직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마련됐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며 “기회사다리·기회소득·기회안전망·기회발전소·기회터전 등 이른바 5대 기회패키지 사업과 환경, 노동안전, 동물복지 등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조직개편 기조를 설명했다.
조직개편에 따라 공정국은 사라진다. 경기도는 조직이 분산될 뿐 기능은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공정경제과는 여전히 경제부지사 산하의 경제투자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조세정의과와 특사경은 행정1부지사 산하 자치행정국과 안전관리실 소속이 된다.
공정국장은 임기 만료로 퇴임하며, 이번 개편으로 공정국장 자리는 사라진다.
공정국을 해체한 경기도는 경제성장과 미래산업 선도를 목표로 경제 관련 조직을 전면에 내세웠다.
첨단산업 육성과 기업 혁신성장 지원을 전담할 ‘미래성장산업국’을 신설하고 소관부서로 디지털혁신과, 반도체산업과, 첨단모빌리티산업과, 바이오산업과 등을 신설했다. 미래성장산업국은 첨단산업 경쟁 심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 산업구조의 디지털전환 가속화에 적극 대응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환경국은 기후환경에너지국으로 개편됐다. 기후위기 대응력을 높이고 탄소중립 실천으로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산림과와 공원녹지과는 각각 산림녹지과와 정원산업과로 명칭이 바뀌었다.
청년복지정책과는 청년기회과로 명칭을 바꾸고 청년․베이비부머 세대와 예술인․소셜벤처 종사자 등 세대와 계층을 막론해 더 고른 기회를 제공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노동안전, 동물복지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노력으로 노동안전과를 신설해 산업현장 노동안전망을 강화하고, 축산산림국을 ‘축산동물복지국’으로 개편하고 반려동물과를 신설해 선진 동물복지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민선8기 핵심 공약인 1․2기 노후신도시와 원도심 재생,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경기국제공항 유치를 위한 조직도 신설된다. 경기도는 ‘도시재생추진단’, ‘경기북부특별자치도추진단’, ‘경기국제공항추진단’을 3급 담당관 체제의 전담 조직으로 신설하고 소관 부지사 직속으로 각각 편제할 계획이다.
이번 조직개편안은 20일간의 입법예고 기간 중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쳐 보완할 계획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