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엄지족 채권개미 올해 2조원 매수...11배 폭증”

2022-11-23     문지혜 기자
삼성증권은 올해 11월11일까지 개인투자자가 온라인으로 매수한 채권 규모가 2조3000억 원에 달했다고 23일 밝혔다. 작년 한 해 매수 규모인 2000억 원 대비 약 11배 증가한 수치다.

온라인 채권개미의 건당 투자금액은 ‘1000만 원 이하’가 56%로, 소액투자자가 온라인 채권 투자 트렌드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증권이 일찍부터 ‘채권은 지점에서 거액매수’라는 편견을 깨고 채권투자 대중화를 위해 편리한 온라인 채권 매매시스템을 갖추고 채권 최소 투자금액을 낮추는 등 서비스 개편을 지속해온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

삼성증권은 9월 해외채권도 모바일 매매가 가능한 시스템을 론칭하고 최소 투자금액도 기존 1만 달러에서 100달러로 낮췄다.
 
또한 채권 관련 유튜브 콘텐츠를 신설해 일반 개인 투자자들의 채권 이해도를 높였다. 채권 관련 유튜브 콘텐츠로는 지난 8월 라이브커머스 형식으로 진행한 ‘채권라커’가 대표적이다. 현재 6만회에 육박하는 조회 수를 기록 중이다.

‘채권라커’에서는 삼성증권의 상품 전문가가 출연해 최근 투자자에게 큰 인기를 얻는 채권에 대해 라이브커머스 형식을 활용해 알기 쉽게 설명했다.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상담이 필요한 경우 삼성증권 지점이나 콜센터를 통해 문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삼성증권 분석 결과 올해 온라인 채널을 활용해 채권을 매수한 투자자의 93%가 그간 채권 매수 경험이 없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경제의 주요 축인 40·50세대가 전체 투자자의 54%를 차지하며 온라인 채권 매수 흐름을 주도했다.

지난해 40·50세대의 비중은 38%에 그쳐 20·30세대(49%)보다 낮았던 것과 대비되는데 이는 온라인 매매 시스템이 편리해지면서 ‘디지털 네이티브’로 불리는 2030만큼 4050도 온라인에서 채권을 쉽게 투자할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채권 종류별로는 매수 상위 10개 채권 중 9개가 2019년, 2020년에 발행된 저쿠폰 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매수한 채권은 2039년 만기인 장기 저쿠폰 국채, ‘국고채권01125-3906(19-6)’이었다.

오현석 삼성증권 디지털자산관리본부장은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채권투자 매수세가 급증한 것은 자산관리 관점에서 증권사를 이용하는 온라인 투자자들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면서 “이에 발맞춰 앞으로도 투자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투자대안을 발빠르게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문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