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DLS 발행 제자리 속 점유율 지각변동...하나증권 1위 우뚝
2023-01-30 원혜진 기자
30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증권사들의 DLS(DLB 포함) 총 발행금액은 전년(17조498억 원) 대비 3.2% 감소한 16조5036억 원으로 집계됐다.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 발행액이 전체 비중의 77.8%(436억 원)을 차지했고 이어서 신용 21.8%, 혼합형 0.2% 순으로 발행됐다.
지난해 DLS 발행 규모 상위 증권사 6곳 중 4곳의 발행액이 전년 대비 줄었다. 이 가운데 하나증권이 총 3조8278억 원을 발행해 점유율 23.19%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이는 전년 대비 77.9%나 급증한 것이다.
하나증권 관계자는 "ELS 발행은 금융시장 불안, 시장 변동성등의 사유로 발행액이 줄었으나, 그 대신 원금지급형 DLB 발행액이 크게 증가했다"며 "당사는 저배리어 스텝다운 상품으로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고객들의 자산을 안정적으로 투자하여 빠른 조기상환을 목표로 하는 상품을 중점적으로 매각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하나증권의 DLB 발행액은 지난해 3조5676억 원으로 2021년 1조4010억 원 대비 2조 원 이상 증가했다.
이어 신한투자증권이 같은기간 1조3481억 원에서 1조8029억 원으로 33.7% 증가해 2위(10.92%)를 차지했고 이어 한화투자증권이 전년 대비 2.4% 증가한 1조5250억 원으로 3위(9.24%)를 기록했다.
반면 지난 2021년 점유율 1위였던 삼성증권은 이 기간 DLS 발행액이 2조2921억 원에서 1조 2870억 원으로 47.9% 감소하면서 4위로 밀려났다.
DLS 발행규모가 가장 줄어든 곳은 한국투자증권으로 지난 2021년 1조2921억 원에서 지난해 5762억 원으로 55.4% 급감했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기초자산군의 시장 상황과 변동성, 발행 환경, 상품에 대한 투자수요 등에 따라 DLS 발행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 DLS(DLB 포함) 상환금액은 전년(17조2000억 원) 대비 28.5% 감소한 12조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상환된 DLS는 만기상환(9조2000억 원, DLS 상환의 74.8%)과 조기상환(2조6000억 원, 21.3%)이 96.1%를 차지했고 중도상환이 5000억 원으로 3.9% 차지했다.
DLS(DLB 포함) 미상환 발행잔액은 전년(27조5000억 원) 대비 17.9% 증가한 32조4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발행형태별로는 공모 발행금액이 DLS 발행금액 전체의 56.2%(9조2697억 원), 사모 발행금액이 43.8%(7조2338억 원)를 차지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원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