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금리는 뚝 뚝, 대출금리는 쑥 쑥...시중은행, 대통령 지적에 예대금리차 줄일까?
2023-02-15 김건우 기자
최근 채권 금리가 안정화 추세에 접어들고 은행들이 채권발행을 통한 자금 확보 환경이 개선되면서 은행들이 급격히 올렸던 수신금리를 다시 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내린 수신금리 만큼 대출금리 하락폭이 크지 않아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은행 여·수신 금리 차이와 사상 최대 이자 장사 논란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까지 우려를 나타내면서 파장이 커지는 모습이다.
은행 수신금리는 최근 은행채 금리가 하향 안정화되면서 뚝 뚝 떨어지고 있다. 반면 대출금리는 지난해부터 지속 상승 유지되면서 소비자들의 체감하는 예대금리차는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대통령과 금융당국 수장까지 은행 금리산정체계에 대한 언급에 나서면서 각 은행들이 예대금리차를 좁히기 위해 여·수신금리 어떻게 조정해 나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한 달만에 정기예금 금리 1.2%포인트 내려... 연 4%도 찾기 힘들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우대금리 미적용 기준 1년 정기예금 금리가 가장 높은 상품은 수협은행 '헤이(Hey) 정기예금'으로 연 4.30%를 제공한다. 뒤를 이어 카카오뱅크의 '카카오뱅크 정기예금'이 금리 4.00%를 기록했다.
두 상품을 제외하면 기본금리 기준 정기예금 1년 상품 중에서는 연 4%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은 없다.
은행 정기예금으로 대규모 머니무브가 이어졌던 작년 말과 비교하자면 금리 하락폭이 상당히 크다. 한달 새 금리가 1%포인트 이상 크게 하락한 상품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지난해 12월 28일 기준 은행 정기예금 금리 상위 10개 상품 중에서 현재 1%포인트 이상 금리가 하락한 상품은 무려 7개에 달했다.
케이뱅크 '코드K 정기예금'은 한 때 1년 만기 연 5% 금리를 제공하며 인기몰이를 했지만 현재 금리는 연 3.80%가 적용돼 한 달새 금리가 연 1.20%포인트 하락했다. 연 4.90% 금리를 적용했던 산업은행 'KDB Hi 정기예금'과 SC제일은행 'e-그린세이브예금'도 현재 연 3.70% 금리를 기록하며 하락폭이 같았다.
대형 시중은행 중에서는 우리은행 'WON플러스 예금'이 한 달전까지만 해도 금리가 연 4.63%였지만 현재 연 3.62%로 1.01%포인트 떨어졌다. 이 상품 역시 금리가 연 5%에 육박했지만 현재는 3% 중반 수준으로 급락했다.
올 들어 정기예금 금리가 급격하게 하락한데는 은행 채권금리 하락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14일 은행채(AAA등급) 1년물 금리는 3.659%를 기록해 지난해 12월 말 대비 0.702%포인트 하락했고 정점을 찍었던 지난해 10월 말 대비 1.237%포인트 떨어졌다. 은행채 하락폭과 정기예금 금리 인하폭이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하락하는 정기예금 금리와 달리 대출금리는 지속적으로 상승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1월 말 기준 4대은행 일반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6.32~6.60%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평년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도 1월 기준 5.02~5.61%를 기록하며 지난해 하반기 대비해 여전히 높게 형성되고 있다.
다만 금융권 뿐만 아니라 대통령실 차원에서도 은행권 고금리 논란에 대해 최근 연이어 제동을 걸면서 은행들이 예대금리차를 줄일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3일 수석보좌관 회의를 통해 "은행 고금리로 인해 국민들의 고통이 크다"며 금융권을 겨냥했고 이튿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역시 임원회의에서 은행의 금리산정체계가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이뤄져야한다고 강조하며 은행들을 압박하는 모양새다.
은행권에서는 15일 오후 발표되는 코픽스(COFIX)가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와 연동되는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등 일부 대출상품 금리는 소폭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결국 금융지원이나 사회공헌 영역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다양하게 검토하는 것이 우선이겠지만 정작 시장논리가 흐려질지는 우려된다"면서 "예대금리는 은행간 담합을 할 수 있는 구조도 아니고 예대금리를 좌지우지하는 준거금리는 각 은행들이 관여할 수 없는 상황에서 다소 무리한 요구로 비춰질 수 있는 점은 우려스럽다"고 평가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