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불호령'에도 은행 예대금리차 확대...수신금리 인하 영향
2023-02-20 김건우 기자
금리 상승세가 정체되면서 대출금리가 일부 하향됐지만 각 은행들이 단기간에 정기 예·적금을 비롯한 수신상품 금리를 급하게 내리면서 전체 예대금리차가 벌어졌기 때문이다.
예대금리차가 가장 높은 곳은 이번에도 전북은행이었다. 전북은행의 1월 예대금리차는 전월 대비 0.69%포인트 상승한 6.40%포인트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대출금리는 10.03%에서 10.12%로 소폭 오른 반면 저축성 수신금리는 4.32%에서 3.72%로 0.60%포인트나 떨어졌다.
이어 신용대출 비중이 높은 토스뱅크가 4.72%포인트를 기록했다. 다만 토스뱅크 대출금리는 8.52%에서 7.96%로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저축성 수신금리는 3.04%에서 3.24%로 상승하며 에대금리차가 줄었다.
고객층이 상대적으로 두터운 6대 은행 중에서는 KB국민은행이 가장 높았다.
국민은행의 1월 예대금리차는 전월 대비 무려 0.90%포인트 상승한 1.51%포인트를 기록했다. 대출금리는 5.05%에서 5.23%로 소폭 상승한 반면 저축성 수신금리는 4.44%에서 3.72%로 크게 떨어졌다.
이어 농협은행이 예대금리차 1.44%포인트를 기록했고 우리은행(1.07%포인트), 하나은행(1.03%포인트)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신한은행은 0.84%포인트를 기록하며 가장 낮았다.
인터넷전문은행 중에서는 카카오뱅크가 전월 대비 0.40%포인트 하락한 1.25%포인트를 기록하면서 전체 은행 중에서도 상당히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