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증권' 활성화 위해 손잡은 민·당·정 "글로벌 스탠다드 만들 것"

2023-03-06     김건우 기자
최근 금융당국에서 토큰증권(STO) 제도화를 위한 밑그림을 발표하면서 시장 기대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민·당·정이 모여 국내 시장이 글로벌 스탠다드가 될 수 있는 기회로 만들자고 입을 모았다. 

STO 시장의 빠른 제도화 과정에서 투자자 보호 강화를 통해 시장 신뢰 구축이 중요하다는 점도 중요한 화두로 제시됐다.
 
▲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STO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6일 국민의힘 정책위원회와 디지털자산위원회가 주최하고 윤창현 의원실이 주관하는 STO 토론회에서 윤 의원은 "STO가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면서 시장이 커지고 있고 토큰화 규모가 16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오면서 금융시장의 새로운 성장기회가 제공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STO 시장에서 앞으로 우리가 만들 플레이어 룰이 글로벌 스탠다드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며 "다른 국가들이 우리를 쳐다보는 시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앞서나가도록 최선을 다해야한다"고 강조했다.

STO 시장의 주 무대가 될 자본시장 역시 기대감이 큰 분위기다. 일부 증권사들은 STO 시장을 새로운 먹거리로 개척하기 위한 밑작업에 들어간 상황에서 투자자 보호를 기반으로 한 시장 활성화 노력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토큰증권이 빠른 시일 내 제도화되어 확고히 자리잡을 경우 증권 발행과 유통이 효율적으로 편리해져 자본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며 "토큰증권으로 거래 가능한 자산의 종류도 실물자산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형자산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 회장은 "토큰증권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려면 투자자 보호를 통한 신뢰 확보도 매우 중요하다"며 "투자자 신뢰를 기반으로 토큰증권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토큰증권의 제도화 과정에서 혁신과 투자자보호가 균형있게 고려되도록 입법 과정에서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토큰증권에 대해 다른 증권에 비해 규제가 대폭 완화되어야한다는 업계 목소리도 있는데 증권 형식이 토큰이라는 이유만으로 규제 차이가 생기고 시장이 기형적으로 성장하는 것은 경계해야한다"면서 "자본시장 발전을 위한 중요한 걸음인만큼 혁신과 투자자 보호가 균형있게 고려되도록 입법 과정에서 국회의 적극적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언급했다.

이어 김 부위원장은 "중요한 것은 토큰이라는 형식이 아닌 그 안의 증권 규약의 내용"이라며 "본질가치와 무관한 허황된 기대심리 조장과 투기가 아닌 기존에 없었던 다양하고 의미있는 증권 규약이 만들어지고 이를 통한 건강한 생태계가 만들어지도록 정부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