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석훈 경기도의원 "공공데이터 활용, 경기도민 안전이 최우선 돼야"
경기도의회 전석훈 의원이 ‘공공데이터’를 이용하는데 있어 ‘경기도민의 안전’이 최우선 돼야 한다고 19일 밝혔다.
전석훈 의원은 '경기도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일부개정조례안'과 '경기도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발의했다.
전석훈 의원은 "지난 2015년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하 공공데이터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며 "2021년엔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이하 데이터산업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이제는 수집보다 활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전석훈 의원은 “이태원 참사가 있기 두달 전, 서울시는 이미 한 통신업체로부터 ‘실시간 인구 데이터’를 제공받고 있었다”며 “제공 받은 데이터를 활용을 ‘안전’에 초점에 맞췄더라면, 이태원 참사는 일어나지 않았을 일이었을 거란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전 의원은 “경기도도 인파 밀집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재난 위험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위험상황 발생시 경찰과 소방으로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상 해야한다”며 “앞으로 공공데이터를 ‘안전’, ‘보건·복지’, ‘산업’ 등 경기도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통합데이터센터’가 없는 경기도의 상황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지난 2019년 경기도의회에서 부지용도의 부적합성으로 데이터센터 사업을 통과시키지 않았다. 이에 현재까지 ‘통합데이터센터’가 없어 각 실·국별 데이터센터를 따로 운영한다.
전석훈 의원은 "통합데이터센터 구축은 안정적인 정보서비스 제공과 데이터의 품질향상을 비롯해서 추후 클라우드 전환계획에 필요한 사업"이라며 "통합데이터센터 구축을 시작으로 경기도는 도민들을 위해서 빅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해야할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최형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