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도민 불안 떨쳐낸다...도내 무량판 아파트 95개 단지 철근 누락 전수점검

2023-08-01     유성용 기자
경기도가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아파트에 대한 전수점검에 나선다.

경기도는 이르면 8월 중순부터 철근 누락 등 부실시공 논란이 불거진 무량판구가 적용된 도내 민간 공동주택 88개(공사 중 25개, 준공 63개)에 ‘경기도 공동주택 품질점검단’을 투입한다. 이들은 철근 누락 여부에 대한 전수점검을 실시한다.

‘경기도 공동주택 품질점검단’은 공동주택 품질 향상 및 입주민 만족도 제고를 위해 민간 전문가들이 골조 공사 단계부터 준공까지 품질점검을 하는 조직이다. 2007년 경기도에서 처음 도입해 전국으로 확산된 모범사례이기도 하다.

경기도는 품질점검단이 자체 조례 제·개정을 통해 점검 횟수를 3차례 추가해 총 4차례 품질점검(골조공사 중, 골조 완료, 사용검사 전, 사후점검)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도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이번 전수점검을 추진했다.

경기주택도시공사 공공 공동주택 7개(공사 중 4개, 준공 3개)도 점검 대상이다.

무량판 구조란 수평 기둥인 보 없이 기둥이 직접 슬래브(콘크리트 천정)를 지탱하는 구조다. 무량판 구조로 시공된 인천 검단 한국토지주택공사(LH)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지난 4월 붕괴 사고가 발생하면서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경기도는 9월까지 공사 중인 29개 단지에 대해 설계도서 등 서류 점검, 주요 구조부 철근 배근 적정 여부, 비파괴 검사를 통한 시공 적정 여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이후 준공이 완료된 66개 단지를 대상으로 설계도서 검토, 콘크리트 강도 확인 등 점검을 연말까지 실시한다. 부실이 확인되면 보수·보강을 추진한다.

국토부장관이 건축 허가하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양주 회천(A15) 등 6개 단지 무량판 아파트에 대해서는 국토부·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대책을 협의할 계획이다.

이계삼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경기도는 2007년부터 공동주택 품질점검단 운영으로 아파트 품질 향상에 항상 노력해 왔다”며 “이번 무량판구조 적용 아파트 특별점검을 계기로 도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한 경기도 아파트’를 확인하는 한편 미진한 사항에 대해서는 보완하는 심기일전의 기회로 삼고 싶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