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뱅 3사 상반기 중·저신용자 대출 성적...규모는 '카카오뱅크' 비중은 '토스뱅크'
2023-08-25 김건우 기자
카카오뱅크는 올해 상반기 중저신용 대출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한 1조7503억 원으로 나타났다. 7월 말 기준으로는 2조 원을 돌파했고, 누적 중저신용 대출 규모는 9조1248억 원에 달했다.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은 전 분기 대비 2% 포인트 상승한 27.7%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의 대환대출 인프라 시행에 맞춰 선보인 신용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도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출시 두 달간 카카오뱅크 앱에서 신용대출 갈아타기를 이용한 고객 중 중·저신용자 비중은 60%에 달했다.
특히 대출을 갈아탄 중·저신용자 중 절반 가까이는 2금융권 신용대출을 대환했는데 카카오뱅크 앱을 통해 대환대출을 실행한 고객 중 평균적으로 중·저신용자는 3.73%포인트, 2금융권에서 넘어온 고객은 5.57%포인트 금리가 인하됐다고 카카오뱅크 측은 설명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큰 여신 규모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대출 공급 확대 노력을 통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높였다"면서 "하반기에도 중·저신용자와 금융 이력 부족자 등 금융소외계층 대상으로 대출 공급을 확대해 연말 목표치 30%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토스뱅크였다. 6월 말 기준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전 분기 대비 3.56%포인트 하락한 38.5%를 기록했다. 여전히 인뱅 3사 중에 가장 높은 비중이지만 전 분기 대비 비중은 하락했다.
토스뱅크 측은 ▲대출심사 및 내부등급 기준을 고도화 ▲대환대출 취급 과정에서 고신용자 유입 ▲부실채권 상각 등의 이유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이 일시적으로 하락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다만 NICE 신용평가 기준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50.3%에 달하는 등 실질적으로 토스뱅크의 가계 신용대출 잔액 중 절반 이상은 중·저신용자에게 공급되고 있고 최근 인터넷전문은행 중 최초로 햇살론뱅크를 선보여 6영업일 만에 443억 원을 지원하는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고 덧붙였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출범 이후 단 한 분기도 놓치지 않고 전 은행권 중 가장 높은 비중으로 중·저신용자를 포용해오고 있다"며 "지속가능한 포용금융을 이뤄갈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케이뱅크(행장 서호성)는 6월 말 기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이 24%로 인뱅 3사 중에서 가장 낮았다. 상반기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4640억 원, 누적 공급 규모는 4조5460억 원이었다.
다만 케이뱅크 측은 이달 초 중·저신용자 상품인 '신용대출플러스'의 금리를 최대 연 1%포인트 내렸고 그 결과 8월 말 기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25.1%로 6월 말 대비 1.1%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개인사업자 등 다양한 고객층에 대출공급을 확대하고 이자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남은 하반기 동안에도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