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업계, 금리 낮아져도 고금리 여전채 비중 여전..."내년에도 건전성 개선 어려울 것"

2023-12-06     신은주 기자
내년에도 카드사들의 신용판매 부문 수익성과 대출자산 건전성이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6일 여신금융협회는 카드업 전망 및 이슈, 캐피탈업 주요 크레딧 이슈 및 2024년 전망, 국내외 VC 전망과 신기술금융업의 과제를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1열 좌측부터 정완규(여신금융협회장), 윤창현(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 김소영(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이 자리에는 국회 정무위원회 윤창현 의원과 금융위원회 김소영 부위원장이 참석해 축사했다. 

한국금융연구원 오태록 연구위원은 '2024년 카드업 전망 및 이슈' 주제발표에서 "카드사는 수익성과 건전성 악화 지속에 대비해 카드사의 데이터 강점을 활용한 성장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금리 수준이 올해보다 낮아지더라도 내년 대출자산 건전성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고금리 도래 전 발행한 여전채 비중이 여전히 높아 부채 차환 등에 따른 조달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단기적으로는 영업비용 절감을 통한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가맹점과 소비자 결제 정보의 강점을 활용한 맞춤형 가맹점서비스 발굴, 개인사업자CB 고도화 등 차별화된 성장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두 번째 주제인 '캐피탈업 주요 크레딧 이슈 및 2024 전망'에서 한국신용평가 전세완 수석연구원은 "자금경색 상황에서 유동성 대응능력을 제고하기 위해서 대체자금조달 수단의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최근 업권 전반으로 2024년 부동산금융 익스포져가 높은 업체들의 추가적인 건전성 저하가능성이 있어 자금조달 안정성이 중요한 시점이다.

다만 향후 부동산금융 익스포져가 높은 업체의 경우 건전성 저하 추세가 지속될 것이지만 신용등급별 수익성 지표는 차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 번째 발표자 자본시장연구원 박용린 선임연구위원은 "신규 신기사는 조합규모 확대와 운용역량 배가를 통해 트랙레코드를 축적하고 업권 전체로서는 차별화된 후기단계 투자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향후 국내외 VC 자금모집과 투자는 CVC 출자 확대, 민간벤처모펀드 출범,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등의 정책을 통해 투자재원 확대와 자금모집 안정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신은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