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세균 내성 이겨내는 항생제 신약 개발 나서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이 11일 미생물∙바이오 벤처기업 노아바이오텍(대표 박용호)과 세균의 내성을 이겨내는 항생제 신약 개발을 위해 ‘내성극복 플랫폼 기반 항생물질’ 공동연구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항생제는 세균의 증식과 성장을 억제하는 약물로 최근 항생제 내성 증가가 헬스케어 업계의 화두로 떠올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항생제 내성을 ‘조용한 팬데믹’이라 부르고 글로벌 공중보건 10대 위협 중 하나로 꼽은 바 있다.
특히 어떠한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는 세균을 '슈퍼 박테리아'라고 하는데 이를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 약이 없어 작은 상처뿐만 아니라 수술이나 항암치료 과정에서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표적 세균에 항생제 내성이 생기면 약물 전달이 어렵거나 불활성화 등 과정으로 치료가 어려워진다.
노아바이오텍은 세균의 생존 시스템을 이용해 기존 항생제에 독창적 물질을 결합해 항생제가 표적 세균 내부로 잘 전달되도록 해 세균 내 항생제 농도를 높이는 기술인 ‘항생물질 효력 증대 및 내성 극복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 계약으로 양 사는 항생제 신약후보물질 연구, 개발 및 상업화 등 전 과정에서 긴밀한 협력 프로세스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우선 항생제 내성 신약후보물질 도출을 위한 초기 평가연구를 시작하고 이후 검증된 물질에 대해 임상시험 등 중장기적인 협력을 이어간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항생제 효력증대 및 내성 극복 플랫폼에 독보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노아바이오텍과 파트너로 연구를 함께할 수 있게 돼 기대가 크다”며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내성 극복 항생제 신약을 개발함으로써 항생제 내성에 대한 미충족 수요를 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용호 노아바이오텍 대표는 “항생제 내성은 WHO가 지정한 ‘글로벌 공중보건 10대 위협’중 하나”라며 “이번 공동연구가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유엔 산하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항생제내성특별위원회 의장을 역임한 박 대표는 CBS 프로그램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특강에서 항생제 내성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대응하기 위한 행동을 촉구한 바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정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