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신당 '영남 바닥기반' 붕괴 위기 일보직전

2008-01-26     뉴스관리자
대통합민주신당의 영남 바닥기반이 붕괴 위기에 몰리고 있다.

영남은 신당의 입장에서 `불모지'와 다름없는 곳이긴 하지만 민주개혁진영 집권 10년 동안 대선 및 총선 등 각종 선거에서 정당 득표율 10-30%대를 유지하는 등 기본 조직기반은 갖추고 있었다는 평가다.

하지만 지난해 대선을 거치면서 바닥조직이 거의 와해했다는 게 신당내 영남인사들의 전언이다.

한나라당의 텃밭인 대구.경북(TK)의 경우 지난해 10월 당시 경북도당위원장이었던 추병직 전 건교부 장관이 일찌감치 탈당했으며, 이 지역 출신 현역의원인 신국환 의원(경북 문경.예천)과 박찬석 의원(비례대표)이 25일 동시에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신 의원측은 2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선을 치르면서 TK의 바닥조직은 붕괴한 것과 다름없다"며 "신 의원은 한때 정계은퇴까지 고려했으나 총선에서 조직은 살려놓고 가야한다는 도당의 요청에 따라 일단 지역구 불출마를 선언하고 후배들의 선거운동을 도와줄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구.경북지역의 다른 인사는 "탈당한 유시민 의원이 대구에 출마키로 하는 등 일부 친노인사들이 총선을 준비하고 있지만 신당 간판으로 총선을 치르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지역에서 신당 명함을 들고 다니면 이상한 사람으로 취급한다"고 하소연했다.

부산.경남(PK)은 대구.경북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 일부 의원은 총선 불출마를 포함해 거취 고민에 들어갔다.

부산.경남지역 의원은 윤원호(비례대표), 조경태(부산 사하을), 최철국(경남 김해을) 의원 등으로, 이들은 자체 여론조사 결과, 출마를 준비 중인 지역구에서 20-30%의 개인지지율을 기록했지만 당 지지율이 5-6%대에 불과해 `개인 경쟁력'만으로 총선을 돌파해야 한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부산 북.강서을에서 지역구 기반을 닦아온 윤 의원은 "지역에서 출마요구가 있지만 설연휴 기간에 민심을 청취한 뒤 내달 10일께 최종 입장을 정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 의원은 "그야말로 악전고투하는 심정으로 총선을 준비하고 있다. 주민밀착형 행보를 통해 뚜벅뚜벅 가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일부 의원은 지도부에 대한 불만도 털어 놓았다. 한 의원은 "영남은 안 그래도 소외된 곳인데 당대표 등 상징성이 있는 인물이 영남에 출마하는 배수진이라도 치면 지역기반이 살아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고, 다른 의원은 "민주당과의 통합으로 호남지역 정치로 회귀하면 영남은 설 자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노무현 대통령이 퇴임 이후 경남 김해로 `귀향'하는 것과 관련, 달갑지 않다는 기류도 감지된다. 노 대통령의 귀향이 PK 총선민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PK 지역의 한 인사는 "노 대통령이 퇴임 이후 바로 고향으로 내려오기보다 서울에서 당분간 휴식을 취하다가 오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