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 SK텔레콤에 '소비자 피해 보상'부터 '재발 방지'까지 대책 촉구

2025-04-29     정은영 기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SK텔레콤(이하 SKT)의 유심 정보 유출 사태 이후 소비자 피해에 대한 보상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29일 발표했다. 

협의회는 성명서를 통해 "SKT는 우리나라 이동통신 서비스 1위 사업자로 약 2300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해 국민 두 명 중 한 명은 SK텔레콤 가입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라며 "이런 거대한 이동통신 서비스 기업에서 유심 해킹사고가 발생했는데 단지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가입자에게 알리고 허술한 대책을 내놨다"고 일갈했다. 

이어 "고객이 범죄에 악용될 수도 있는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는데 신속하고 정확하게 고객에게 알리고 대책을 강구하기는커녕 사고 인지 시점을 늦추고 늑장 신고를 했다"고 꼬집었다.
 

협의회는 SKT가 사고 초기에는 유심보호 서비스만 안내하다가 여론이 좋지 않아지자 유심교체를 하겠다고 발표했지만, 2300만 가입자 대비 턱없이 부족한 물량으로 대리점을 찾은 소비자는 헛걸음을 하거나 하염없이 대기하면서 언제 발생할지 알 수 없는 사고로 불안에 떨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러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소비자에게 피해 상황과 대응 계획을 알려야 한다며 "그것이 그 기업을 신뢰하고 선택해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고 설명했다.

협의회는 "기업의 임원들이 언론에 나와 고개를 숙이고 보여주는 사과를 하는 것으로 대충 이 사건을 넘기려 하지 말고 철저한 원인 규명과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으로 재발을 방지하고 소비자의 소중한 정보를 지키는 것이 기업이 마땅히 해야 할 의무"라고 말했다.

협의회는 SKT와 정부에 △유출 정보의 구체적 범위 공개 △유심 교체 지연 시 소비자 피해 책임 명확화 △피해보상 범위·방법 및 취약계층 보호대책 마련 △사고 원인·침해 경로·대응 적정성 조사 결과의 신속·투명 공개 △재발 방지 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앞서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해도 피해가 발생하면 100% 책임지고 보상하겠다"며 "유심 교체가 늦어지는 가입자, 취약계층, 해외 체류자 등 다양한 상황에 맞는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협의회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이번 SK텔레콤의 성의 없는 대응에 대해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강력한 대응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정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