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 양평고속도로 원안 추진 강조..."특검에 선제적 협조할 것"

2025-07-08     양성모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8일 양평 고속도로 현장을 찾아 노선 변경 특혜 의혹과 관련해 “특검은 누가, 왜, 어떻게 이런 일을 만들어 지난 3년을 허송세월하게 했는지, 양평군민과 경기도민에게 피해를 줬는지 밝혀야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서울~양평 고속도로 원안의 종점을 찾아 “윤석열 전 대통령은 과거에 ‘선거는 패밀리비즈니스’라고 한 바 있다”며 “김건희 일가의 탐욕을 위해 권력을 도구로 활용한 정황이 너무나 명백하다”고 밝혔다.

이어 “필요하다면 경기도가 자료의 임의제출까지 해서라도, 특검이 명명백백하게 진상을 밝히는 데 선제적으로 협조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이제는 원안대로 빨리 추진하는 것이 답”이라며 “제대로 된 사업이 빠른 시간 내에 속개되도록 경기도는 적극 중앙정부와 함께 힘을 모으겠다”고 전했다.

경기도에 따르면 해당사업의 원안은 서울시 송파구 오금동~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의 27km구간(4~6차로)이다. 그러나 예비타당성조사까지 마친 해당노선이 정권 출범 직후 돌연 변경됐다.
▲ 8일 오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양평군 양서면의 서울-양평고속도로 현장을 방문하여 점검하고있다.
종점이 양서면에서 강상면으로 바뀌면서 국민혈세인 사업비도 1000억 원가량 늘어났다. 강상면에는 김건희 일가의 토지가 있었기 때문에 윤석열 정부 당시 대통령 처가의 땅값 상승을 노린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러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사업 자체를 ‘백지화’ 시켰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도민, 국민의 몫이었다.

그간 김 지사는 서울~양평고속도로 논란과 관련해 세 번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지난 2023년 7월 12일 당시 원희룡 국토부장관의 횡포와도 같은 백지화 결정 직후 첫 번째 입장문을 내 사업 백지화의 철회를 촉구했으며, 2023년 8월 3일 두 번째 입장문에서 원안 이행을 강력히 요구했다.

지난 3월에는 윤석열 정부의 공식사과, 원안추진, 해당의혹에 대한 ‘(국토부의 자체) 감사가 아닌 수사’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취재진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는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 지사는 현장에서 특검 수사 결과를 어떻게 전망하느냐는 질의에 “특검이 누가, 왜, 어떻게‘에 대한 답을 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그와 같은 것들이 밝혀지도록 경기도는 자료의 임의 제출을 포함해서 할 수 있는 협조를 다 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예단할 수는 없지만 권력을 도구로 해서 사익을 채우고, 김건희 일가의 탐욕을 채우려다 벌어진 일이 아닌지, 사익을 위해서 정부 기관과 관련된 여러 단체들이 함께 협조 내지 사주한 것인지 특검에서 구체적인 내용이 밝혀질 것이라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 지사는 “비단 서울~양평 고속도로 뿐만 아니라 다시는 국민의 세금을 써서 우리 국민들, 도민들게 피해가 가는 일을 막기 위해서 반드시 이번에 진상규명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양성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