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백서] 영화·게임용 빔 프로젝터 뭐가 좋을까…삼성 ‘터치·게임’ vs. LG ‘초단초점·고화질’ 강점

2025-09-01     선다혜 기자
공중파 채널 영향력이 줄고 OTT 시청이 일상화되면서 TV 대신 공간 제약이 적고 활용도가 높은 빔 프로젝터를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컴팩트한 사이즈로 이동이 편리해 집안 어디서든 간단히 설치해 영화·드라마는 물론 게임까지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수요 확대에 맞춰 삼성전자(대표 전영현)와 LG전자(대표 조주완)는 각각 신제품을 선보이며 시장 공략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지난 4월 ‘더 프리미어5’를 출시했다. 전용 터치 스탠드를 기본 제공해 천장이나 벽은 물론 바닥과 테이블에도 영상을 투사할 수 있으며, 투사된 화면을 직접 터치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단순한 영상 시청을 넘어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캐주얼 게임까지 가능하다. 전용 스탠드를 통해 테이블이나 바닥이 대형 터치스크린으로 변해 손가락으로 퍼즐 조각을 움직이거나 게임 앱을 실행하는 등 직관적인 인터랙션을 경험할 수 있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선보인 ‘더 프리미어5’는 음질에도 공을 들였다. 10W 출력의 스테레오 스피커를 탑재하고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를 지원한다. 

또 AI(인공지능) 기술로 음성을 또렷하게 들려주는 ‘액티브 보이스 프로’ 기능까지 적용했다. 본체의 상당 부분을 스피커에 할애했을 정도로 사운드 구현에 신경을 쓴 것이다. 화면을 켜지 않아도 모바일 기기와 연결해 스피커처럼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삼성전자가 지난 4월 출시한 더 프리미어5. 사진=삼성전자

다만 빔프로젝터 본연의 성능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해상도는 FHD(1920×1080), 밝기는 560루멘 수준이다. 실제 사용자들은 “단초점이라 배치가 편하고 OTT 시청에도 무난하지만, 색감과 화질은 다소 아쉽다”는 반응을 보였다. 

어두운 곳에서는 또렷한 화면을 구현하지만 낮 시간대처럼 햇빛이 비치는 환경에서는 밝기가 부족해 화면이 흐릿하게 보인다는 평가도 있었다. 
 
LG전자도 지난달 ‘시네빔 쇼츠’를 출시했다. 부가 기능보다 화질과 투사 거리 등 본질적인 요소에 초점을 맞춘 제품이다.

특히 더 짧은 거리에서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초단초점 방식이라 원룸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활용도가 높다. 8.1cm 거리에서 40인치, 39.3cm 거리에서는 100인치 화면을 투사할 수 있다.

반면 삼성전자의 ‘더 프리미어5’는 40인치 화면을 구현하려면 최소 10cm, 100인치는 42.3cm 이상의 거리가 필요하다.
 
▲LG전자가 지난달 출시한 시네빔 쇼츠. 사진=LG전자

또 LG전자 시네빔 쇼츠는 밝기가 500루멘으로 삼성전자 제품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해상도는 4K(3840×2160)를 지원해 FHD에 그친 삼성 제품보다 훨씬 선명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뿐만 아니라 이 제품은 빨강·초록·파랑 세 가지 레이저를 각각 활용하는 RGB 3채널 광원을 적용해 색을 보다 정밀하고 풍부하게 구현한다. 

영화관에서 사용하는 표준 색 영역을 훌쩍 넘어서는 색 재현력을 갖춤으로써 일반 TV와 비교해도 훨씬 다채롭고 생생한 화면을 보여준다. 

여기에 450000:1의 높은 명암비를 더해 깊은 블랙과 세밀한 디테일까지 표현하며 몰입감을 한층 끌어올렸다.

같은 빔프로젝터지만 성격은 확연히 갈린다. 영상 재생 외에 게임 등 부가 기능 활용도가 높은 제품은 삼성전자이고, 영상 본연의 성능에 집중한 제품은 LG전자다. 

가격은 삼성전자 ‘더 프리미어5’가 185만 원, LG전자 ‘시네빔 쇼츠’가 179만 원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선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