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에 일부 은행 신분 증명 서비스 중단...금융당국, 전 금융사에 “대응센터 구축” 강조

2025-09-28     이은서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일부 은행을 비롯한 일부 금융사는 개인정보 확인 서비스 업무 등에 차질을 빚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전날 해외IP차단 고객의 이체성 거래, 국민지갑 일부서비스, 우체국 금융서비스, 공공마이데이터 등 정부기관 관련 업무가 원활하지 않다고 밝혔다. 

신한은행은 모바일신분증과 주민등록증·여권·외국인등록증 진위확인, 국민비서,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전자증명서, 디지털개방 서비스, 공공마이데이터, 우체국 금융서비스 등이 불가하다고 공지했다. 

하나은행도 일부서비스 모바일 신분증, 주민증 및 여권진위확인, 신용대출 한도조회 및 대출서류 간편제출, 공공마이데이터, 디지털개방서비스, 우체국금융서비스 전반이 중단됐다고 밝혔다. 

다른 은행들도 모바일 신분증 진위확인서비스 등 이용이 불가하다며 대신 운전면허증이나 여권을 이용한 신분 확인을 해달라고 공지한 상태다.

이번 화재로 금융 앱 일부 서비스 등에 장애가 발생하자 금융위원회는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전 금융사에 대응센터 마련을 요청했다. 

전날 금융당국은 긴급회의를 개최해 전 업권 금융사에 이번 사고에 따라 예상되는 금융서비스상 장애로 인해 국민들이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세부적인 금융서비스 장애 내용과 대체 거래수단도 적시해 상세히 알려드릴 것을 당부했다. 

또 금융서비스 장애로 인해 고객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금융사별로 세심한 대응 계획을 마련하고 사태가 안정화될 때까지 대응센터를 구축해 당국과 긴밀한 소통을 해달라고 요구했다. 

현재 금융위·금감원은 국정자원 화재사고 발생 즉시 합동 위기상황대응본부를 마련, 운영 중이다.

금융당국은 “국정자원 시스템 복구가 이뤄질 때까지 금융권 상황 등을 면밀히 예의주시하겠다”며 “필요시 즉각 대응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은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