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협 차기 회장, 이현승·황성엽 이어 박정림·정영채도 거론…서유석 회장 연임 가능성 있나?
2025-10-24 이철호 기자
대형사 출신 인물의 출마 여부와 함께 서유석 현 회장의 연임 도전 여부도 주목된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현승 LHS자산운용 회장(전 KB자산운용 대표)이 23일 제7대 금융투자협회장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1966년생인 이 회장은 행정고시 32회 출신으로 재정경제부에서 공직생활 이후 메릴린치증권을 거쳐 SK증권, 코람코자산운용, KB자산운용 등에서 증권사·자산운용사 대표를 16년간 역임했다.
이 회장은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 종합투자계좌(IMA)의 조속한 도입 지원 △중소형 증권사들의 영업용 순자본비율(NCR) 규제 개선 △중소형 증권사·운용사·신탁사·선물사들의 비용절감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회장은 "금융투자협회의 존재 이유는 회원사의 성장과 가치 증대에 있다"며 "맞춤형 소통을 통해 회원사의 니즈와 고충을 파악하고 즉시 소통을 통해 신속한 해결책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9월에는 황성엽 신영증권 각자대표가 차기 금융투자협회장 선거에 출사표를 던졌다.
1963년생인 황 대표는 1987년 신영증권에 입사한 후 38년간 경영기획·자산운용·법인사업·IB·경영총괄 등을 거쳐 2020년 신영증권 각자대표로 취임했다.
황 대표는 은행 중심의 금융 체제를 넘어 투자은행 중심으로의 구조 전환이 절실함을 강조하며 △자본시장 중심의 국가 전략산업 지원 △가계 자산의 증시·연금시장 유입을 통한 노후 안전망 강화 등을 주요 목표로 제시했다.
황 대표는 "금융투자협회는 회원사의 의견을 듣고 연결하는 전략 플랫폼이 돼야 한다"며 "누구보다 잘 듣고, 반드시 실천하는 협회장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 회장과 황 대표 모두 중소형사 출신인 만큼 정부와 금융당국에 업권의 목소리를 전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자본시장 관련 정책에 업권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대형사 출신이 차기 회장으로 선출돼 영향력을 행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새 정부가 자본시장 활성화를 중요한 정책 목표로 삼고 있는 만큼 업권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며 "금융투자업을 대표해 발행어음·IMA 등 주요 업권 이슈에 대응하려면 대형사 출신 인물이 차기 회장으로 선출되는 것이 적합하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대형사 출신의 차기 금융투자협회장 선거 출마 여부도 관심거리다. 업계에서는 박정림 전 KB증권 대표와 정영채 메리츠증권 상임고문(전 NH투자증권 대표) 등이 거론되고 있다.
정 고문의 출마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박 전 대표는 "이미 좋은 분들이 많이 나와 고민하고 있다"고 말하며 출마 가능성을 열어둔 바 있다.
올 연말 임기가 만료되는 서유석 현 회장은 재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아무런 의사를 밝히지 않은 상태다. 금융투자협회장이 연임한 사례가 없는 가운데 협회 안팎에서는 서 회장이 출마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특히 서 회장의 호주 출장 이후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서 회장은 이달 18일부터 26일까지 10여 명의 증권업계 CEO와 함께 한국 증권업계 NPK 대표단으로서 호주를 방문했는데 서 회장 귀국 이틀 뒤인 28일에 금투협 이사회에서 차기 회장 후보추천위원회가 구성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서 회장은 11월에도 두 차례에 걸쳐 국내 증권사·운용사 CEO와 함께 중국 빅테크 현장 동향 파악을 위해 상하이와 항저우를 방문하기로 계획했으나 '사전 선거운동'이 될 수 있다는 논란이 제기되자 출장을 취소했다.
이달 말 금투협 이사회에서 후보추천위가 구성될 경우 11월경 협회장 후보 모집공고 이후 후보추천위에서 1차 컷오프를 통해 최종 후보군이 정해진다. 이후 12월 말 임시총회에서의 선거를 통해 당선자가 정해질 예정이다.
관건은 대형 증권사의 표심에 달려 있다. 금투협 회장 선거 투표권은 30%가 1사 1표로 균등 배분되고 70%는 연간 협회비 분담률에 따라 차등 배정되기 때문에 규모가 큰 회원사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투표 과정에서 표의 영향력이 큰 대형 증권사의 표심이 어느 후보로 향할지에 따라 차기 회장이 정해질 것"이라며 "후보가 어느 회사 출신인지에 따라 대형 증권사의 선택이 갈릴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자본시장 활성화 이외에도 가상자산, 퇴직연금 등 차기 회장이 해결해야 할 이슈가 산적해 있다"며 "민·관 네트워크를 통해 금융당국은 물론 타 업권과도 주요 이슈를 조율해줄 인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철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