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방산 3사, '한화 퓨처 테크 포럼: 방산' 개최..."평화를 위한 기술 실현"
2025-10-27 이범희 기자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환영사에서 “AI와 첨단 제조기술이 융합되는 대전환의 시대 속에서 평화를 지혜롭고 책임 있게 준비해야 한다”며 “한화의 기술은 도발이 아닌 보호를 위한 기술이며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평화를 위한 기술’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AI, 스마트 제조, 우주, 에너지 등 미래 프런티어 분야 투자 확대를 통해 글로벌 안보 협력 신뢰 네트워크를 확장하겠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이번 포럼에는 국내외 군 관계자와 안보 전문가, 글로벌 방산 기업 CEO 등 270여 명이 참석했다. KAI, LIG넥스원, 대한항공, HJ중공업, 풍산 등 국내 주요 방산 기업과 L3해리스, 노스럽그루먼, BAE시스템즈, 사프란, 에어버스, WB그룹, 밥콕캐나다, GA-ASI 등 해외 기업들도 참여해 네트워킹을 이어갔다.
한화그룹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글로벌 안보·기술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글로벌 방산 기업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재확인했다. 특히 AI 시대의 기술 주권, 산업 회복력, 지속 가능한 평화라는 핵심 의제를 중심으로 국방·산업·학계·정부 간 협력 생태계 구축 의지를 드러냈다.
포럼에서는 글로벌 안보 이슈를 조명한 발표와 대담이 이어졌다. 크리스토퍼 파인 전 호주 국방장관은 ‘전략적 경쟁시대 호주 방위산업 정책 전망’을 주제로 기술혁신과 국방산업 간 협력 확대 방안을 제시했다. 랠프 우디스 NATO 신속대응군 사령관은 화상 발표를 통해 ‘유럽 전선의 교훈’을 공유하며 기술 대비와 국제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강은호 전 방위사업청장(전북대 교수)은 ‘K-방산의 미래: 기술 중심 산업 전환과 글로벌화’를 주제로 발표했다. 대담 세션에서는 한화그룹 알렉스 웡 최고전략책임자(CSO)와 존 치프먼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회장이 ‘AI 시대의 기술 주권과 경제 안보’를 논의했다.
정부 주요 인사들도 영상과 축사를 통해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글로벌 확대 의지를 표명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K-방산 기업들이 혁신과 도전을 이어간다면 대한민국 기술력은 국제 무대에서 더욱 굳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의 축사를 대독한 조현기 자원관리실장은 “대한민국 방위산업은 AI와 유·무인 복합체계 등 첨단 기술을 결합해 ‘첨단 과학기술군’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의 협력이 지속가능한 성장과 글로벌 평화에 기여하는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축사를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범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