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년 만에 부활한 우지라면 '삼양1963'…김정수 부회장 "창업정신 현대적으로 되살려"

2025-11-03     송민규 기자
“삼양1963은 단순한 복고제품이 아닙니다. 삼양의 창업정신을 현대적으로 되살린 상징이며 명예의 복원이자 진심의 귀환.”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우지라면의 부활을 선언했다. 1989년 11월3일 익명의 투서로 시작된 ‘우지파동’이 일어난 지 정확히 36년 만이다.

삼양식품은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 출시 발표회를 통해 60년 전 출시된 삼양라면을 현대적인 맛으로 재해석한 라면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삼양식품 창업 역사와 관련이 깊은 남대문시장 인근에서 진행됐다. 창업주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은 남대문시장에서 ‘꿀꿀이 죽’으로 끼니를 해결하던 사람들의 모습을 계기로 1963년 한국 최초의 라면을 개발했다. 삼양식품은 역사적 의미를 고려해 브랜드의 출발점에서 신제품을 공개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삼양1963 패키지를 들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새롭게 출시된 ‘삼양1963’은 삼양 브랜드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이는 프리미엄 미식 라면이다. 

삼양식품은 ‘삼양1963’의 주요 타깃을 2030 세대로 설정했다. 제대로된 라면맛을 기대하면서도 새로운 제품을 잘 받아들이고 프리미엄 라면에 대한 수용도가 가장 높은 세대라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기존 우지라면의 맛을 기억하는 50대 이상도 노린다는 계획이다.

삼양식품은 매출 목표로 기존 삼양라면의 매출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삼양1963’은 과거 삼양라면 제조 레시피의 핵심이었던 우지를 활용해 면의 고소한 맛과 국물의 깊은 맛 등을 적용해 차별화된 풍미를 구현했다는 것이 삼양식품의 설명이다.

동물성기름인 우지와 식물성기름인 팜유를 혼합한 골든블렌드 오일로 면을 튀겨 고소한 향과 감칠맛을 더했다.

채혜영 삼양브랜드 본부장은 “우지는 팜유와 성질은 비슷하지만 가격이 더 비싸다”면서도 “튀겼을 때 우지는 풍미가 다르다”고 설명했다.

사골육수를 사용한 액상스프와 무, 대파, 청양고추가 들어간 후첨분말후레이크를 적용해 원재료의 풍미를 더욱 살렸다. 깔끔한 뒷맛과 얼큰함을 강조했다는 것이 삼양식품의 설명이다.

후레이크는 큼직한 크기의 단배추, 대파, 홍고추로 구성했다. 동결건조공법에 후첨 방식을 적용해 재료 본연의 맛과 향, 식감이 오래 유지되도록 했다.
▲삼양식품 삼양1963
‘삼양1963’의 첫 국물은 ‘맵짤이’에게는 다소 맵게 느껴질 수도 있게 느껴졌다. 냄새부터 청양고추를 썼음을 알 수 있는 향이었다. 첫맛은 꽤 칼칼한 맛이 들어왔다. 이후 진한 소고기의 향이 느껴졌다. 면을 소고기 기름에 튀긴 덕에 면의 맛도 묵직했다.

면을 다 먹은 뒤 밥을 말았을 때는 매운맛이 다소 누그러지면서 밥과 소 특유의 풍미가 잘 어울어졌다.

한편 김정수 부회장은 이날 행사에서 고 전중윤 명예회장을 언급하며 울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김 부회장은 “이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자주 명예회장님을 떠올렸다”며 “전중윤 명예회장님이 평생 품고 계셨던 한을 조금은 풀어드리지 않았나 싶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지난 1954년부터 동방생명(현 삼성생명)의 창업 부사장을 지내던 전중윤 명예회장은 남대문시장 앞에서 미군 부대서 나온 잔반으로 끓인 꿀꿀이죽을 먹기 위해 길게 줄 서 있는 국민들의 모습을 봤다. 전 명예회장은 “지금 이 나라에 필요한 것은 보험이 아니라 한 끼의 따뜻한 밥”이라며 1961년 삼양식품을 창업하고 1963년 국내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 ‘삼양라면’을 출시하기에 이른다.

지난 1989년 11월3일 투고된 익명의 투서로 ‘우지파동’ 사태가 일어난다. 약 6년이 지난 1995년 2심에서 무죄가 나왔고 1997년 대법원에서 무죄가 확정되면서 8년간의 지루한 법정 공방이 마무리된다. 하지만 삼양식품은 우지파동과 IMF를 연달아 겪으면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지난 2012년 불닭볶음면이 출시됐고 해외에서 ‘대박’이 나면서 K푸드의 선봉장이 된다. 올해 상반기 삼양식품의 해외매출은 8642억 원으로 해외 매출 비중은 79.9%에 달한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송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