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5개년 110조 원 규모 생산적·포용금융 추진
2025-11-09 박인철 기자
먼저 생산적금융 93조 원은 투자금융 25조 원과 전략산업융자(기업대출) 68조 원으로 공급하며, 투자금융 부문은 ▲국민성장펀드 10조 원 ▲그룹 자체투자 15조 원으로 구성되고 전략산업융자의 경우 5년간 68조 원 규모로 첨단전략산업 및 유망성장기업 등에 자금을 공급할 계획이다.
KB금융은 투자금융 경쟁력을 바탕으로 MegaDeal(대형 거래) 발굴 및 선제적 금융지원을 통해 국민성장펀드의 조기 성과창출 및 성공적 안착을 지원한다. 추가로 15조 원 규모의 그룹 자체투자를 통해 생산적금융(자산운용·증권·인베스트) 펀드 결성, 증권의 모험자본 공급, 계열사 인프라/벤처투자 등을 공급한다.
포용금융 17조 원은 서민 취약계층과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성장과 재기지원, 자산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금융지원과 채무지원 프로그램 등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KB금융은 지난 9월 신설된 ‘그룹 생산적금융 협의회(계열사 사장단 포함 경영진 21명 참여)’ 운영을 통해 추진방향은 물론 세부실행방안을 논의하고 주기적으로 실적을 점검하고 있으며, 계열사별로 전담조직 신설을 통해 생산적금융에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은행 전담조직(생산적 금융 중심의 기업대출 확대 및 기업발굴·성장지원 등을 수행하는 전담조직) 신설을 검토 중이며 이와 별도로 지난 10월 첨단전략산업 전담 심사부서(첨단전략산업심사UNIT)도 신설했다. 증권의 경우 미래산업 리서치 강화를 위한 리서치 조직을 재정비했으며 자산운용도 첨단전략산업 운용실을 신설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생산적금융으로의 전환’ 정책 동참을 위해 KB금융은 기업여신 정책 및 영업방식 등을 국가 산업육성 관점에서 대출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며, 계열사의 부동산금융 영업조직을 축소하는 한편 기업·인프라금융 영업조직을 확대하는 조직개편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 금융위 주관 생산적금융 소통 점검회의를 통해 KB금융은 총사업규모 3.3조 원 규모의 용인반도체클러스터 금융주선(KB국민은행·산업은행) 내용을 실행계획으로 발표했다. KB증권의 경우 증권사 최초로 정부 상생결제대출 시장에 참여하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KB금융 관계자는 “금융이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선도하는 본질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 주도 생산적 금융 지원에 적극 동참하겠다”며 “소상공인, 서민·취약계층의 성장·재기 지원에도 앞장서서 국민 모두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포용금융 지원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인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