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네트웍스, 3분기 매출·영업익 감소..."AI 중심 사업지주사 입지 강화"

2025-11-11     정은영 기자
SK네트웍스는 3분기 매출 1조9726억 원, 영업이익 223억 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4%, 영업이익은 22% 줄었다. 자회사 SK인텔릭스의 신제품 출시 비용이 반영되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불확실성이 높은 산업 환경 속에서도 사업 포트폴리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기반을 확립하며 인공지능(AI) 중심 사업지주회사 입지를 강화한 3분기를 보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정보통신사업은 네트웍 관리 강화 및 단말기 판매 증가 효과가 나타났으며 워커힐은 호텔 객실과 식음료 매장, 대외 사업 고객 증가에 따라 82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 대비 4.9% 늘었다.

SK스피드메이트의 경우 정비·부품·ERS 사업의 고른 성장으로 수익성이 개선됐으며 엔코아 또한 솔루션·교육 사업 중심의 매출 확대와 경영 효율화를 통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실리콘밸리 기반 AI 스타트업 피닉스랩은 지난 8월 SK네트웍스의 전략적 투자와 글로벌 AI 리더들의 참여 속에 40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을 유치하기도 했다.

SK인텔릭스는 렌탈시장의 경쟁 심화 속에서 ‘원코크 플러스 얼음물 정수기’가 꾸준한 인기를 끌었으며 10월에는 ‘초소형 라이트 직수 정수기’ 판매에 나서는 등 지속적인 고객 마케팅을 실시했다. 

아울러 ‘AI 웰니스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전략 방향성을 앞세워 브랜드 체계를 재정비했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개발한 세계 최초 웰니스 로보틱스 브랜드 나무엑스 제품 마케팅 비용 등이 발생해 이익 측면에서는 전년에 미치지 못한 실적을 기록했다.

SK네트웍스는 4분기 및 향후 사업별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AI 기반 사업모델 혁신 속도를 높여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SK인텔릭스는 지난달 30일 나무엑스를 그랜드 런칭해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섰다. 

SK네트웍스는 또한 최근 미디어렙 시장 유력 사업자인 ‘인크로스’ 지분 36%를 SK스퀘어로부터 인수하기로 하고 자사의 AI 역량과 결합해 AX(인공지능 전환)를 추진하겠다는 전략을 밝히기도 했다. 

이 같은 본·자회사 전반에 걸친 AI 연계 사업모델을 구축하는 동시에 어떤 환경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굳건한 재무구조를 확고히 할 방침이다. 

SK네트웍스 관계자는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의 AI 실증 사례와 전략적 투자를 통해 산업 생태계 내 연결 가치를 높이고 AI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경쟁력을 강화해 지속 가능한 성장과 미래 혁신을 이끌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정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