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테크 브릿지 2025’ 성료...모빌리티 신기술 50개 공개

2025-11-19     임규도 기자
현대모비스가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의왕시 전동화연구소에서 '테크 브릿지 2025'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테크 브릿지는 전동화와 모듈부문을 통합한 양산용 신기술 연구개발 성과 공유회다. 대형부품인 모듈 기술과 전기차 핵심부품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전동화 부문의 시너지를 통해 수주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시작됐다.

이번 행사는 완성차 고객사와 부품 협력사를 현대모비스의 기술로 연결한다는 취지로 ‘기술을 잇고, 주행을 만나다’를 주제로 열렸다.

현대모비스는 배터리와 구동부품 등 전동화 분야에서 28개, 섀시모듈과 운전석(칵핏)·실내 조명·외장 등 모듈부문에서 22개 등 총 50개의 신기술을 공개했다.

올해 전동화 부문의 우수 연구개발 사례로는 도심형 소형 전기차에 특화된 120㎾급 PE(Power Electric)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운송차량으로도 쓸 수 있도록 부피는 축소하고 부품의 높이는 낮춰 더 많은 적재가 가능한 저상형 구조로 설계됐다.
 
▲경기도 의왕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에서 지난 18일 열린  ‘테크 브릿지 2025’에서 50개 전동화·모듈 신기술 전시 현장과 첨단 기술을 체험하는 관람객들의 모습

전기차의 충전속도를 2배 가까이 높인 신기술도 선보였다. 차세대 22kW급 ICCU(통합충전제어장치)는 고속 충전 시에도 배터리의 전압과 온도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충전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해 충전속도와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섀시 모듈에서는 차량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저상화 기술을 선보였다. 기능 통합 저상화 섀시 모듈의 경우 기존 스틸 코일 스프링과 유압 쇽옵쇼버를 복합재가 활용된 판 스프링과 전동 로터리형 댐퍼로 교체해 경량화와 주행 감성도 동시에 향상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를 개발하며 총 5건의 특허도 출원했다.

이외에도 칵핏 모듈 분야에서는 ▲차량의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도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는 저전력 LED 기반 실내 무드 조명 제어기 ▲3D 프린터와 유사하게 금속을 용접 적층해 금형을 만드는 WAAM 기반 사출 금형 기술 등을 소개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임규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