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금융소비자보호 정책평가위원회 설치 추진... 소비자정책 건의 역할
2025-11-27 이철호 기자
정부와 소비자, 민간 전문가 등으로 정책평가위원회를 구성해 금융소비자·서민금융 정책을 논의하는 한편 독립적·객관적 평가를 위해 민간위원만으로 구성된 별도의 소위원회를 둘 계획이다.
금융위는 11월 28일부터 12월 10일까지 '금융소비자보호 정책평가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정안 규정제정예고를 실시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제정안은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의 실천과제 중 하나인 정책평가위원회 설치를 위한 것이다.
정책평가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해 20인 이내의 민·관위원으로 구성한다. 정책평가위원회의 위원장은 금융위원장으로 하고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원회, 중소벤처기업부,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진흥원이 공공 부문의 당연직으로 참여한다.
민간위원은 금융소비자·서민금융 단체 종사자, 관련 학계·법조계 종사자 등 전문성을 갖춘 사람 중 금융위원장이 위촉하며, 민간의 전문가적 시각을 보다 폭넓게 반영하기 위해 구성원의 과반수 이상을 민간위원으로 구성한다.
정책평가위원회는 반기별 1회 회의를 원칙으로 하나,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위원 과반수의 요구가 있을 경우 수시로 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정책평가위원회는 금융소비자·서민금융 정책, 금융사기·금융범죄 관련 정책, 청년금융 정책 등에 대해 논의하고 금융위원회에 의견을 제시한다.
금융위는 금융소비자 입장에서 금융소비자정책에 대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정책평가위원회 아래에 평가 전담 소위원회(이하 소위원회)를 설치한다.
소위원회는 정책평가위원회의 민간위원만으로 구성되며, 소위원회의 위원장은 민간위원의 호선에 의해 선임한다. 소위원회는 연간 1회 회의를 원칙으로 하나,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위원 과반수의 요구가 있을 경우 수시로 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소위원회는 금융소비자·서민금융 정책, 금융사기·금융범죄 관련 정책, 청년금융 정책 등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정책평가위원회에 보고한다.
이번 제정안은 규정제정예고 실시 이후 금융위 의결 등의 절차를 거쳐 시행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번 제정되는 규정을 토대로 내년부터 정책평가위원회 회의를 개최해, '정책설계-집행-평가'로 이어지는 전 단계에서 금융소비자의 목소리가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철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