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논란 대상 장관후보.수석 처리 "어찌하오리까?"
이명박 정부'가 부동산투기 의혹과 자녀 이중국적 논란에 휘말린 각료 내정자 처리 문제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연합뉴스와 여권에 따르면 이춘호 여성장관 내정자의 자진사퇴로 일단락되기를 기대했던 인사 문제가 가라앉기는 커녕 한층 악화될 조짐을 보이자 "크게 문제없다"던 애초의 입장에서 한 발 짝 물러나 여러 경우의 수를 검토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특히 야당인 통합민주당이 남주홍 통일, 박은경 환경장관 내정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 보이콧 방침을 공식적으로 밝힌 가운데 `4.9 총선'을 앞두고 여론악화에 부담을 느낀 한나라당 지도부마저 사실상 `결단'을 우회 압박하는 분위기로 흐르자 크게 난감해 하는 모습이다.
각료 내정자를 추가로 교체하자니 정치적 타격과 함께 상당기간 국정공백이 우려되고, 그렇다고 그냥 밀고 나가자니 총선이 부담스러운 형국이다.
청와대는 일단 남주홍, 박은경 내정자와 제자논문 표절의혹에 휩싸인 박미석 청와대 사회정책수석 내정자 모두 흠이 있긴 하지만 국정을 수행하지 못할 만큼의 결격사유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박 수석 내정자의 경우 학술진흥재단이 25일 논문표절이 아니라는 결정을 내린 만큼 의혹이 완전 해소됐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6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야당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있지만 이는 다분히 총선을 의식한 정략적 포석으로 보인다"면서 "야당이 반대한다고 해서 중대흠결이 드러나지도 않은 인사들을 무조건 자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각료 및 수석 내정자 재검증 문제에 언급, "문제가 있다고 하니까 한번 들여다 보는 것이지 탈락이나 내정 철회를 전제로 하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청와대 일각에서는 반대의 기류도 감지된다. "여론이 안 좋은데 그냥 넘어갈 수 있겠느냐", "이대로 계속 버틸 수 있겠느냐"는 등의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
이는 한나라당의 내부 기류와도 일정부분 맥이 닿아 있는 것으로, 상황에 따라서는 추가 낙마하는 인사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당내에선 "문제가 있으면 깔끔히 털고 가야 하는 것 아니냐", "어차피 시간상의 문제라고 본다"는 등의 압박성 발언이 공공연하게 쏟아져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지도부가 이명박 대통령에게 `결단'을 주문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는 남주홍, 박은경 내정자에 대한 야당의 청문회 거부방침과 관련, "적절치 않은 것 같다. 청문회에서 본인의 해명을 듣고 판단하는 것이 도리"라고 지적하면서도 야당 설득작업을 병행하고 나섰다.
류우익 대통령실장과 박재완 정무수석 내정자가 이날부터 이틀간 각 정당 대표들을 찾아 협조를 요청키로 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청와대는 통합민주당이 끝내 청문회를 거부할 경우 각료 임명을 강행할지 여부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고민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행 국회법은 인사청문 요청안 접수 후 20일이 지나면 대통령이 장관을 자동 임명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