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업계, 휴대전화 보조금 경쟁 `올인'

2008-03-20     뉴스관리자
 요금 경쟁으로 소비자 혜택을 높이겠다던 이동통신업계가 요금 인하 압박이 줄어들자 다시 보조금 경쟁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달 26일 시행되는 휴대전화 보조금 자율화를 앞두고 일선 대리점에서는 가입비 면제까지 포함해 최고 50만 원대의 보조금이 지급되는 등 시장이 달아올랐다.

   이달 번호이동 가입자 수는 18일까지 모두 78만명으로 올해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1월 번호이동 가입자 수는 52만6천명, 2월에는 56만3천명에 그쳤지만 3월들어서는 한달도 채 안되는 기간에 1.5배 수준에 이르고 있다.

   17일에는 하루 평균 3만~4만명이었던 번호이동 가입자 수가 9만1천명으로 크게 늘었다.

   이달 들어 갑작스러운 번호이동 증가는 SK텔레콤[017670]과 KTF[032390]의 상대방 가입자 뺏기 경쟁에서 비롯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업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서만 27만명의 가입자가 SK텔레콤과 KTF 사이에서 각각 이동했다.

   반면 상대적으로 가입자가 적은 LG텔레콤[032640]은 11만명으로 지난달과 비슷한 수준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

   통상 1분기가 가입자 유치 경쟁이 가장 치열한 시기임에도 1,2월 번호이동 시장이 조용했던 것도 원인 중 하나다.

   최근 일부 휴대전화 대리점에서는 40만원대 휴대전화가 공짜폰으로 나왔고, 가입비까지 대신 내주는 곳도 있어 실질적으로는 50만원 이상을 보조금으로 지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동통신 업체들은 보조금 규제가 폐지되고 의무약정제가 도입되면 보조금 대신 요금으로 경쟁하겠다고 밝혀왔지만, 이런 추세라면 `공약'으로 그칠 가능성이 커보인다.

   의무약정제에 대한 반대도 적지 않은 데다 포화 상태인 시장에서 한 업체에서 보조금을 뿌리면 경쟁업체도 보조금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는 악순환을 벗어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달 들어 갑자기 보조금 경쟁이 심해지는 바람에 3사가 보조금 정책을 조율하고 있다"며 "시장이 안정을 찾겠지만 언제 다시 경쟁이 붙을지 예상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