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물가안정이 7% 성장 보다 중요"
2008-03-24 김미경기자
이 대통령은 이날 매일경제, 파이낸셜타임즈, 일본경제신문, 중국경제일보 등과의 공동회견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피력했다.
이는 미국발(發) 금융위기와 유가 상승 등이 국내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감안, 당장은 무리한 성장을 추진하기 보다는 어려움에 처할 서민들을 위한 경제 정책에 주안점을 두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또 대북관계와 관련, "인도적 차원의 대북 지원은 핵 문제와 연관시키지 않고 앞으로도 계속 해나갈 생각"이라며 "그러나 북한도 국군포로나 400여 명 가까이 되는 납북 어부 송환문제에 대해 인도적 고려를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베이징 올림픽 남북 단일팀 구성 문제에 대해 "남북 공동으로 참가하거나 응원하는데 적극적인 자세를 갖고 있으나 전적으로 북한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글로벌 시대를 맞아 공직 사회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인재가 들어와야 하며, 특히 외국인 공무원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개방적으로 채용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국가 안보나 보안, 기밀과 큰 관계 없는 투자유치, 통상, 산업, 교육, 문화, 도시계획 분야에서 외국 인재들을 등용해 공무원 조직의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공기업 민영화 문제를 언급, "민간이 더 잘할 수 있는 것은 과감히 역할을 주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민영화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기업 경영권 보호장치 도입에 대해 "특별한 조치를 취한다기 보다는 선진국 정도의 수준에 맞춰 나간다고 보면 된다"면서 "기업이든 근로자든 법을 어기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고 특히 전략적, 이념적 파업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단언했다.
이 대통령은 '4.9 총선' 전망에 대해 "뭐라고 얘기하든 선거개입이 된다"면서 "국민이 나를 대통령으로 뽑아줄 때보다 국제 환경이 훨씬 더 나빠졌는데, 어떻게 하면 경제를 살리는데 도움이 될 지를 현명한 국민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삼성특검에 대해 "지난 정부부터 시작돼 시한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길게 가지 않을 것"이라며 "삼성으로서는 국제 활동에 좀 부정적 요소도 있지만 이 기회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