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 차관보 "북한과 좋은 협의...두고 보면 알 것"

2008-04-08     뉴스관리자
 북한과 미국은 8일 북핵 6자회담의 진전을 막아온 북한의 핵프로그램 신고에 대해 잠정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이날 싱가포르 주재 미 대사관에서 회동하고 핵프로그램 신고의 쟁점인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및 시리아와의 핵협력 의혹 등에 대해 양측의 의견을 반영한 절충안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이날 합의내용에 대한 양국 수뇌부의 최종 승인이 이뤄지면 6자회담은 핵신고 및 핵불능화 단계를 넘어 핵폐기 단계로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힐 차관보는 김 부상과의 회동 뒤 숙소인 리젠트 호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제네바 회동(3.13) 때보다 더 진전이 있었다"면서 "북측과 좋은 협의를 했으며 얼마나 좋은 협의인지는 곧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측과의 합의사항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은 채 "오늘 나눈 얘기에 대해 본국 훈령을 받기로 했다"면서 "일이 잘 되면 (9일) 베이징에서 앞으로 해야할 일을 포함해 더 많은 것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힐 차관보는 9일 베이징으로 건너가 한국, 중국, 러시아, 일본 등 다른 6자회담 참가국들에 이날 회동 결과를 설명할 예정이다.

김 부상도 회담 뒤 북한 대사관저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의견이 상이한 부분을 많이 좁혔다"면서 "회담이 잘 됐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합의에 따라서 필요한 사업들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해 조만간 북한의 신고서 제출과 이에 상응해 미국이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는 작업이 시작될 것임을 시사했다.

고위 외교소식통은 "일단 고비를 넘긴 것 같다"면서 "북.미 양국 수뇌부의 재가가 이뤄지면 핵신고 합의가 공식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소식통은 "제네바에서도 힐 차관보와 김계관 부상은 사실상 합의했지만 북한 수뇌부가 이를 승인하지 않아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한 만큼 아직 핵신고 문제를 완전히 돌파했다고 장담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북한은 10.3합의에 따라 작년 12월31일까지 핵프로그램을 신고해야 했지만 UEP 및 시리아와의 핵협력 의혹 등에 대한 미국 측과의 이견으로 시한을 석달 이상 넘기도록 신고를 미뤄왔다.

북.미는 플루토늄 관련 사항은 북한이 정식 신고서에 담아 의장국인 중국에 제출하지만 UEP와 핵협력 등 민감한 이슈는 `간접시인' 방식으로 양측만 공유하는 비밀의사록을 통해 신고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간접시인'은 미국이 자신의 이해사항을 기술한 뒤 북한이 이를 적절한 표현으로 받아들이는 방식으로, 이번 회동에서 UEP와 시리아 핵협력 의혹 등에 대해 미국 측이 적시할 내용과 이를 받아들인다는 북측의 표현에 대한 최종 조율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