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공항 알몸 투시기 "인권이냐? 보안이냐?"두고 논란
LA국제공항에 도입된 전신 검색기에 대해 '인권을 침해한다'는 논란이 거세다.
18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미연방 교통안전청(TSA)은 보안검색 전신 검색기 1대를 도입해 델타항공이 이용하고 있는 LA국제공항내 5번 터미널에 설치하고 추가 보안검색이 필요한 승객들을 대상으로 17일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밀리미터파(波) 화상기(millimeter wave imaging)'라고 불리는 이 검색기는 대당 15만 달러로 높이 2.7m, 폭 1.8m의 공중전화 부스 모양으로, 대상자의 신체를 흑백 영상으로 보여줘 무기류나 폭발물을 소지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한 눈에 알게 해준다.
LA공항은 애리포자 피닉스에 위치한 스카이하버국제공항에 이어 미국에서 2번째로 스캐너를 도입한 공항이 됐으며, TSA는 올해안에 30대이상 구매해 다른 공항에도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이 검색기의 도입에 인권운동가들이 신형 검색기를 이용할 경우 탑승객의 가슴이나 근육 등 신체의 윤곽이 3차원 영상으로 보여짐으로써 나체 상황에서의 몸매를 노출시키는 것과 같다고 주장해 인권 침해 논란이 되고 있다.
미국 시민자유연맹(ACLU) LA지부의 피터 바이브링 변호사는 "탑승객들이 알몸으로 드러나는 이미지가 얼마나 적나라한 지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다고 생각치 않는다"면서 "특히 유명 인사가 검색기에 오를 경우 보호규정이 지켜지지 않을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고 밝혔다.
TSA측은 이에 대해 1차 검색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신형 검색기를 통과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더듬는 방식을 원하는 지 선택권을 주겠다고 밝혓으며 검색기를 통과할 경우 사생활 침해라는 지적을 피하기 위해 해당 탑승객의 얼굴 부분을 흐릿하게 처리하고 영상의 저장이나 출력을 금지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인권보호와 보안을 둘러싼 논란은 쉽게 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