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 아고라 토론방 조회 5200만건…100분토론은 '끝장' 못봐
미국산 쇠고기의 광우병 논란이 가열되면서 포털사이트 다음이 운영하는 토론방 `아고라'의 방문자와 조회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인터넷 시장조사업체 랭키닷컴에 따르면 대규모 촛불 집회 전날이었던 지난 2일 다음 아고라(http://agora.media.daum.net)의 페이지뷰(조회수)가 5천200만여건을 기록, 1주일전의 1천700만여건에 비해 3배 가량 증가했다.
또 같은날 순방문자수는 200만여명을 기록, 1주일전의 90만여명에 비해 2배 이상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랭키닷컴 측은 "지난 4월 18일 미국 쇠고기 수입 협상이 타결된 이후 광우병과 관련한 각종 뉴스, 네티즌들의 많은 게시글과 함께 이 사이트의 방문자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8일 MBC TV '100분 토론'이 평소 시청률의 두 배 이상을 기록해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얼마나 높은 지 단적으로 보여줬다.
‘미국산 쇠고기 안전한가’를 놓고 벌인 MBC `100분 토론`(진행 손석희)이 3시간이 넘는 난상토론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사회시민단체들의 이견만 노출된 채 끝났다.
하지난 심야 시간에 방송됐음에도 6.5%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해 쇠고기 문제에 대한 국민의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
이날 방송된 MBC `100분 토론`은 최대 국민적 관심사인 `미국산 쇠고기,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8명의 패널이 참여해 160분의 예정 시간에 20분의 시간이 추가된 장장 3시간 동안 끝장 토론을 벌였지만 평행선만 달렸다.
이날 토론회의 정부측 인사로는 이상길 농림수산식품부 축산정책단장과 외교통상부 다자통상국장 이태호, 정인교 인하대 경제학부 교수 , 권준욱 질병관리본부 전염병관리팀장이 나섰고 반대측 인사로는 송기호 국제통상전문 변호사, 박상표 건강을 위한 수의사 연대 정책국장,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 진중권 중앙대 겸임교수가 참석했다.
1부는 미국산 쇠고기의 안정성에 대해, 2부는 협상결과에 대해 논의했지만 양쪽이 팽팽한 대립각만 세웠다.
특히 국민들의 큰 반발을 사고 있는 미국 쇠고기의 안정성에 대해 정부와 시민단체 측은 극명한 입장대립으로 신경전을 벌였다.
한편, 이날 토론에서는 전화로 연결된 애틀란타에 거주하는 재미교포 주부 이선영씨가 현지의 상황을 상세하게 전하며 미국 쇠고기의 광우병 위험을 지적해 시선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