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올리면 '팔불출'"..원가상승 없는 음식값도 마구 인상

2008-06-18     뉴스관리자
 최근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에 편승해 업체들이 각종 상품가격과 서비스 요금을 올리고 있어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궁극적으로 임금 인상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물가를 올리는 악순환을 만들기 때문이다.

   18일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물가인상이 원자재 가격과 큰 상관이 없는 음식이나 개인서비스 등으로 확산되면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형성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원가가 전혀 올라가지 않았는데도 판매가격을 올리는 경향이 있으며 원가는 500원 상승했는데, 판매가격은 1천원 올리는 사례도 있다"고 전하고 "이런 현상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더욱이 한은은 물가가 계속 오를 것이라는 전제 하에 향후 원가 상승분까지 감안해 가격을 대폭 올리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원가가 소폭 오르더라도 가격 인상이 100원이나 1천원 등 일정 단위로 이뤄지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한은의 다른 관계자는 "어느 정도까지 원가상승을 감내하겠지만 가격을 조정하는 시점에서는 원가상승 분보다 더 높게 올릴 수 있다"며 "다만 품목마다 일일이 원가 상승 요인을 밝혀낼 수 없기 때문에 어떤 품목이 편승 인상했는지 가려내기는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런 분위기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높여 물가를 더 끌어올리는 요인이 된다는 점이다.

   정부는 일단 직접적으로 가격을 규제할 수 없는 만큼 소비자에게 가격 정보를 상세히 제공하고 소비자단체의 감시 활동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임종룡 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정부가 직접 원가를 분석하거나 가격을 규제할 수는 없다"며 "개별 품목의 가격이 인상되면 소비자단체가 적극적으로 원가 공개를 요구하는 등 시장 자율적인 방식으로 이러한 편승 인상에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인플레이션 분위기에 편승해 가격을 담합할 우려가 있는 업종에 대해 집중 감시에 나선 점도 전반적인 가격인상 심리를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노동계는 물가인상이 올해 임금교섭의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국노총의 이민우 기획정책실장은 "올해 임금협상에서는 소비자물가 급등으로 임금인상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는 공기업 민영화 등의 이슈와 맞물리면서 교섭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한은 관계자도 "임금인상률은 일반적으로 물가상승률과 기업의 이익 등을 고려해 결정한다"면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는 임금인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