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가공식품 벌레·곰팡이·변질 원인 대부분 미궁…불신 커져
상태바
가공식품 벌레·곰팡이·변질 원인 대부분 미궁…불신 커져
제조-유통-사용 등 단계별 관리 문제 못밝혀 소모적인 분쟁만 반복
  • 조윤주 기자 heyatti@csnews.co.kr
  • 승인 2014.10.31 08: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식중독균 과자와 대장균군 시리얼로 가공식품 안전관리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 불신이 더 깊어지게 됐다.

최근 6개월 간 소비자고발센터(www.goso.co.kr)에 접수된 가공식품 관련 소비자 민원은 총 108건이다. 이틀에 한 번꼴로 가공식품에서 문제가 발생되는 셈이다.

중소업체 제품 뿐 아니라 CJ제일제당, 대상, 동원 F&B, 오뚜기, 농심, 풀무원, 매일유업, 남양유업 등 대형업체 제품들도 민원 대상에서 빠지지 않는다.

민원은 주로  이물질과 벌레 혼입이 각각 32건(29.6%)으로 가장 많았고 부패 및 변질 사례도 26건(24.1%)에 달했다. 기타 맛이 달라졌다거나 내용물 부족 등이 18건(16.7%)으로 집계됐다.

 

▲ 유통기한 중 애벌레가 발견되거나 곰팡이가 피는 등 변질된 식품들.    

 

라면이나 우동같은 면류 등에서 벌레 혼입이 빈번했고 음료나 빵류에서 부패나 변질이 잦았다. 정체불명의 이물이나 유리조각, 비닐 등이 발견되기도 했고 원인을 알 수 없는 냄새로 소비자의 불안감을 높였다.

변질된 식품을 먹고 구토나 피부 발진 등 부작용이 나타난 사례도 4건이나 접수됐다.

그러나 대부분 식품제조업체는 공정상 이물이 유입되거나 변질되기 어려운 구조라며 유통단계나 소비자 부주의로 책임을 미루는 게 현실이다. 제조 시 금속탐지기 등 첨단장비를 동원해 이물이 유입되더라도 출고 전 걸러낼 수 있는 구조라는 것이 한결같은 이유다.

◆ 가공식품 문제 요인 '조사 방식'에 소비자 불신 높아

식품에 이물이 발견되면 1차적으로 제보자 거주지 관할 위생과에 통보돼 조사가 이뤄진다. 원인규명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2차적으로 제품 구매처 관할 위생과에서 검토하며 최종적으로 제조업체가 위치한 담당 위생과에서 생산 공장을 찾아 원인에 대해 조사하게 된다.

그러나 유통단계나 소비단계, 제조단계에서도 혐의점을 찾지 못해 원인 불명으로 결론 나는 경우가 대다수다.

제조 과정 중 문제에 대한 의혹을 풀지 못한 소비자들은 조사과정을 전적으로 신뢰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

게다가 이번 사건처럼 식품제조업체에서 법에 따라 진행하는 자가품질검사 역시 허술함이 드러나며 소비자들의 불신의 골은 더욱 깊어지게 됐다.

또 소비자가 블랙컨슈머로 오인될까 신고를 꺼리기도 해 가공식품 문제는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다.

컨슈머리서치 최현숙 대표는 “제조업체는 소비자들이 믿고 먹을 수 있도록 원재료 관리부터 완제품까지 철저하게 안전을 생각해 생산해야 한다”며 “이물이나 변질 신고 시에도 소비자가 의혹을 풀 수 있도록 적극 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비자 역시 식품 개봉 후에는 이물이 들어가거나 변질되지 않도록 잘 관리하고 허위 신고의 경우 1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므로 결코 허위로 신고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조윤주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