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역대 최대 공급 임대주택, 공공과 민간 차이점은?
상태바
역대 최대 공급 임대주택, 공공과 민간 차이점은?
  • 이건엄 기자 lku@csnews.co.kr
  • 승인 2019.03.26 07:08
  • 댓글 3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서민들의 주거난을 해소하기 위해 임대주택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정책을 펼치면서 다양한 형태의 임대주택들이 출현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이냐 민간이냐에 따라 청약 기준과 임대료 책정 기준이 다른 것은 물론 각각이 갖고 있는 한계점이 명확해 자신의 상황을 고려해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

26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전국에 공급된 임대주택(공공, 민간임대 포함)은 지난해 기준 6만8187가구에 달한다. 지난 2010년 4576가구와 비교하면 10년여 만에 14배 가량 증가한 셈이다. 특히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지난해 총 14만8000호가 공급되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임대주택은 크게 공공과 민간으로 나눌 수 있다. 공공의 경우 정부와 공사가 주도하는  ‘공공 임대주택’과 정부에서 일정부분 혜택을 제공하고 민간이 짓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 있다.

명칭에서부터 차이가 있는 만큼 공공과 민간 임대주택은 각각의 청약 기준과 임대료 산출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공공 임대주택, 저렴한 임대료에 거주 안전성 높아

공공임대주택은 말 그대로 정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이 공급하는 임대주택으로 정책적 성향이 가장 강하다. 그렇다보니 임대료와 보증금이 저렴하고 임대기간도 5~10년으로 길어 거주 안정성이 뛰어나다.

다만 청약을 위해선 무주택자여야 되고 소득에도 제한(4인 가구 기준 월 584만6903원)이 있어 분양받기 까다롭다.

특히 분양전환 시 10년 뒤 시점의 감정평가액을 기준으로 분양가를 책정하다 보니 전환 시점에 도래한 입주자들의 반발이 거센 상황이다. 실제 오는 8월 분양전환 되는 LH 판교 봇물마을의 경우 10년 전보다 주변 시세가 3배 가까이 상승하면서 기존 세입자들의 분양이 사실상 어려워지기도 한다.

전국LH중소형10년공공임대아파트연합회 관계자는 "10년 공공임대주택 입주 후 10년이 지나면 공공택지의 기반시설이 갖춰져 인근 아파트 시세가 오를 수밖에 없다"며 "LH의 폭리를 보장하는 현 제도 탓에 10년 공공임대주택 도입 취지가 무색해졌다"고 강조했다.

◆ 초기 임대로 높아 서민 정책 '무색'...일부 건설사 제도 악용 의혹도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기존 뉴스테이의 장점인 8년 거주 보장과 연 5% 이내 임대료 인상 제한 등의 기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초기 임대료는 주변 시세 대비 90~95% 수준, 주거지원계층은 주변 시세 대비 70~85% 수준으로 책정되는 게 특징이다.

다만 초기 임대료가 시세의 95% 이하인 만큼 서민들이 주거안정 정책이라는 것을 체감하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우기 해당 시세도 주변시세 중 가장 높은 곳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서울 등 집값이 높은 곳에선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도 있다.

민간분양전환임대주택의 경우 공공과 달리 청약을 위한 별도의 자산이나 소득 기준이 없어 비교적 분양받기가 쉽다. 다만 조건이 까다롭지 않은 만큼 임대료나 보증금이 공공보다 비싸며 임대기간이 보통 4년으로 짧다. 이런 특성 때문에 일부 건설사들이 분양가상한제 등 정부의 규제를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민간임대 제도를 악용한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한다.

실제 호반산업이 지난해 2월 분양한 '위례 호반가든하임’의 경우 당초 일반분양단지에서 2017년 말 민간임대로 사업계획이 변경됐다. 이 단지를 포함한 북위례에서 분양하는 민간 건설사 아파트 단지는 모두가 분양가 상한제 적용 대상으로 호반산업이 이를 피하기 위해 당초 계획을 변경한 게 아니냐는 의혹을 받은 바 있다.

북위례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될 경우 3.3㎡당 분양가가 2200만 원대로 점쳐지고 있다. '위례 호반가든하임'의 경우 3.3㎡당 분양가는 1640만 원으로 분양가상한제 가격에는 크게 못미치지만 4년 후 분양임대 전환 방식을 통해 회사가 추가수익을 고스란히 가져갈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2월 택지개발지구(공공주택지구 포함) 내 분양주택용지를 임대주택용지로 사용할 수 있는 범위를 임대의무기간 8년 이상인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으로만 한정했다. 현재는 4년 임대 후 분양은 불가능하지만, 여전히 분양가나 보증금 관련 규정은 없다.

호반건설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별도로 공식입장을 내기 어렵다며 일축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건엄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노천사 2019-03-26 07:45:49
10년공공임대 악법개정하지 않고서는 이나라에 주거안정과 서민의 내집마련은 존재하기 어렵다
공공택지 엔 모든 아파트가 분양가상한제가 제한되는데 10년공임만 시세감정가라는게 말이되는가 서민을 우롱하는 처사단

어부바 2019-03-26 08:07:02
현재 10년공임제도의 목적은 누가봐도 폭리다.
앞으로는 서민 위하는척하면서 10년후 감정가분양으로 내쫓는 악법중에 악법이다. 부동산 가격 서민이 올렸나? 10년공임 분양가를 꼭 실거래가로 해야만하는 이유가 정말 궁굼하다.

베스트카 2019-03-26 08:23:58
10년공공 임대아파트가 서민들의 주거안정과 내집마련의 기회로 정부와 LH가 주도하에 공급되어 집없는 많은 서민들이 내집마련의 꿈을꾸고 15년이상 무주택기간과 최소 1.000만원이상 부은 청약통장을 소멸해가며 어렵게 당첨되어 살고있지만 기쁨도 잠시ᆞ 열악한 인프라와 LH의 부실공사와 저질자재로 인해 집 천장에서 물이새고 곳곳에 하자투성이인 이런 아파트를 10년이 지난 지금 시세대로 분양 하겠다고 으름장을 내고 있으니~ 국토부장관 후보란사람이 갭투기 의혹이 불거지고, LH 국토부가 나서서 10년공임을 대상으로 갭투기를 하려고 하고 있으니, 이게 정부 공기업에서 할 짓입니까?

분양 2019-03-26 08:02:19
서민주거임대정책이면 살던 사람을위해 분양해야지~
평생 집 한번 없던 사람들이 부동산정책에 대해서 뭘 알았을까?우리는 10년 살면 내 집된다해서 들어와 살았는데 이제와서 돈 없으면 나가라고~
우리는 몰랐어도 건설사와 국토부는10년 후에 많이 오를거를 예상하지않았을까
이것은 서민을 상대로 사기쳤다고밖에 볼수없다~

공임적폐 2019-03-26 08:44:27
건설사랑 LH는 자기돈 한푼도 안투자하고 천문학적인 수익을 가져가고.. 청약통장으로 입주한 서민들은 쫒겨나거나 빚더미에 앉고.. 집값은 미친듯이 올려놓구 국토부는 건설사랑 LH만 대변하고.. 이게 제대로된 나라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