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금융당국 장려로 동산담보대출 2배 증가...IBK기업은행, 독보적 선두 질주
상태바
금융당국 장려로 동산담보대출 2배 증가...IBK기업은행, 독보적 선두 질주
  • 박관훈 기자 open@csnews.co.kr
  • 승인 2019.06.12 0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당국의 강력한 동산담보대출 장려 기조 속에 지난해 6대 은행의 취급액이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급증했다. 그러나 동산담보대출이 일부 은행에 집중된데다 취급규모가 아직 작아 실제 정책 효과는 미미하다는 평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등 6대 은행의 동산담보대출 취급액은 2931억24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97%(1443억400만 원) 급증했다.

6대 은행 동산담보대출.JPG
은행별로는 IBK기업은행(행장 김도진)이 전년 대비 3배 가까이 증가한 1931억4800만 원을 기록했다. 6대 은행 전체의 동산담보대출 가운데 3분의 2를 IBK기업은행이 차지했다.

IBK기업은행 관계자는 “IBK기업은행의 경우 시중은행 대비 상대적으로 중소기업 고객이 많다 보니 동산담보대출 규모 확대에 유리한 측면이 없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당행 중소기업 대출 중 제조업 비중이 높은 것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또한 지난해부터 금융위원회 등 금융 당국의 지원과 동산금융 장려 정책이 이어졌고 그에 따른 안정 장치가 확보되면서 시너지를 냈다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60%대 증가율을 보인 하나은행(행장 지성규)이 413억2900만 원, 국민은행(행장 허인) 298억4700억 원, 농협은행(행장 이대훈) 136억6200만 원 순으로 집계됐다.

신한은행(행장 진옥동)은 전년 대비 2.1% 감소한 112억4100만 원을 기록했으며 우리은행(행장 손태승)은 2017년 대비 30.6% 줄어든 38억9700만 원에 그쳤다.

◆ 동산담보대출 증가세 미미...은행권 “현실적 제약 많아 시간 걸릴 것”

동산담보대출은 부동산 등 고가 담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에 기계설비, 재고자산, 농·축·수산물, 지식재산권 등 자산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상품이다.

[크기변환]2018060111183139344687880327748.jpg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5월 동산금융 활성화를 위해 4대 전략, 10대 세부 추진과제를 발표하며 은행권의 동산담보대출 확대를 주문했다.

당시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동산은 신용도와 담보가 부족한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의 유용한 자금조달 수단”이라며 “동산금융 활성화를 위해 인프라 구축, 적극적인 유인 제공 등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은행권은 지난해 8월 동산담보대출과 관련한 내규를 전면개정하고 신상품을 출시하는 등 활성화 계기를 마련하려는 정부의 기조에 적극 호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은행별로는 국민, 신한, 기업, 우리 등 4개 은행이 신상품을 출시하고 KEB하나은행은 전용상품을 폐지해 활용폭을 확대했다.

또한 올해 들어서는 신한은행이 지난 1월 중소기업의 동산 자산 관리를 위한 IoT 기반 디지털 플랫폼과 단말기 개발에 성공했으며 국민은행은 지난 4월 KT가 구축한 IoT(사물인터넷) 기반 올인원(All-in-one) 동산담보 통합관제 플랫폼인 ‘KB PIM’을 도입했다.

[크기변환][KT보도자료4] KB PIM.jpg
다만 이 같은 노력에도 은행권의 동산담보대출 취급액 증가세는 미미하다는 평가다. 실제로 지난해 6대 은행의 취급액 중 65.9%는 기업은행이 차지하고 있다. 기업은행을 제외한 5대 은행의 동산담보대출 취급액은 999억7600만 원에 불과하며 이는 전년 대비 22.5%(183억4900만 원) 늘어난 규모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동산담보대출 자체에 제약이 많다고 지적한다. 동산담보의 관리나 가치평가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대출 수요도 많지 않아 수익성이 낮은 정책성 상품에 가까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설명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동산담보대출이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수요가 많지 않다”면서 “대부분 매출채권이나 기계 설비, 재고자산 등을 담보로 대출을 진행하다 보니 토지나 건물과 달리 가치 평가 자체가 까다롭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또한 은행 입장에서는 담보의 유동성 추적 관리가 쉽지 않은 어려움도 있다”면서 “최근에 IoT 기술을 적용해 자산과 설비를 실시간으로 추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도입하고는 있지만 아직 초기적인 단계라 취급액이 급격히 늘지는 않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 관계자는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조달 지원을 위해서라면 은행권의 직접 투자를 유도하거나 보증서담보대출을 활성화 하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관훈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