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경기도, 8~9월 ‘벌 쏘임 사고’ 주의 당부...대처법도 안내
상태바
경기도, 8~9월 ‘벌 쏘임 사고’ 주의 당부...대처법도 안내
  • 김혜리 기자 hrhr010@csnews.co.kr
  • 승인 2022.08.08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가 '벌 쏘임 사고'에 관한 주의를 당부하며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최근 폭염 등 여름철 고온 현상으로 벌의 활동이 활발해졌고 휴가철에 접어들며 야외활동이 증가해 벌 쏘임 사고 위험이 커졌기 때문이다. 

8일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본부장 고덕근)는 여름철을 맞아 8~9월 중 ‘벌 쏘임 사고’ 예방을 위한 도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실제로 지난해 경기북부 지역에서 벌집 제거 관련 소방 출동 횟수는 총 1만7324건으로 이 중 84%(1만4548건)가 여름철인 7~9월 사이에 집중됐다.

앞서 소방청은 지난달 27일 오후 2시부로 전국에 ‘벌 쏘임 사고 경보’를 발령한 바 있다. 

이에 북부소방재난본부는 벌집 제거 출동이 증가할 것에 대비해 8월 1일부터 4일까지 북부권역 11개 소방서를 대상으로 순회 점검을 벌이는 등 대응 태세 강화에 나선 상태다. 

구체적으로 벌집 제거 보호복, 원격 말벌퇴치기 등 소방서별 벌집 제거 장비 운용실태를 면밀하게 살피고, 출동대원 대상 안전사고 방지 교육 등을 시행했다.

고덕근 본부장은 “말벌의 경우 추석을 기점으로 30일 전부터 벌 쏘임 사고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8월부터 10월 사이에 활동이 가장 왕성한 만큼 벌 쏘임 사고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북부소방재난본부는 벌 쏘임 관련 대처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안내했다. 

▲벌에 쏘였을 때는 신속히 벌침을 제거하고 쏘인 부위를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 냉찜질을 해주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외활동 시 향수나 스프레이 등 자극적인 향을 몸에 뿌리는 행위를 자제해야 하고, 흰색 등 밝은색 계열의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만약 벌 쏘임으로 인해 이상 반응(호흡곤란, 속이 메스껍고 울렁거림, 구토, 설사, 어지러움, 전신 두드러기 등)이 있으면 즉시 119에 신고한 후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혜리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