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가 초대형프로젝트인 주한미군 반환공여지 개발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전국의 주한미군 반환공여지 중 개발가능한 구역은 경기도에만 22개소 약 72.4㎢에 이른다. 여의도 면적의 25배 규모다.

물론 경기북부대개조에 나선 김 지사의 생각이나 입장도 같다. 이재명 정부의 주한미군 공여지 개발 드라이드는 “경기도 발전을 위해서 전에 없는 좋은 기회”라는 것이 김 지사의 생각이다. 지난 1일 시도지사 간담회에서도 이 대통령과 김 지사 간에 관련한 대화가 있었다.
간담회 이후 김 지사는 이날 경기도 현안대책회의를 소집했다. 김 지사는 대책회의에서 △주도성 △전향성 △지역중심 등 3대 원칙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이제까지 다소 수동적이고 중앙의존적인 방침에서 벗어나 경기도가 할 일을 보다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찾아서 도의 주도성을 보여줘야 한다”며 “경기도가 갖고 있는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고 미군 반환공여구역 뿐만 아니라 군 유휴지별로도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개발 방향을 수립하는 것”을 주도성의 사례로 꼽았다.

김 지사는 “이제까지는 중앙정부에 무엇인가 해달라고 지원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해왔다”며 “지원을 받아야 될 것도 있겠지만 그에 앞서서 도가 전향적으로 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어 “예컨대 경기연구원에서 의정부, 동두천 등 지역별로 (먼저)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지역에 특화된 반환공여구역 개발 방안을 만들어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공여지 개발은 지역주민과 경제, 문화, 생황의 질 향상 등 지역 특성에 초점을 맞춰 추진해 나갈 것을 지시했다.
이날 김 지사가 제시한 3대 원칙에 입각해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을 추진해 나가기 위해 경기도는 8월 중 김대순 행정2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경기도 반환공여지 개발 TF‘를 공식 발족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2부지사를 중심으로 반환공여구역이 있는 의정부, 파주, 동두천, 하남, 화성 등 5개 시와 함께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끝으로 김 지사는 “판을 바꾸는 계기로 삼을 수 있도록 해달라”며 거듭 당부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양성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