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유영하 의원은 MBK를 ‘약탈적 헤지펀드’로 지칭하면서 “홈플러스 사태의 본질은 사모펀드가 계열사인 카드사와 합작해서 선진금융기법이라 하면서 홈플러스 부채를 외주화시킨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처음에 MBK가 차입매수(LBO) 방식으로 인수하고 난 다음 홈플러스 매출이 떨어지고 이자 부담이 발생하니 자산을 팔아 이자를 메꾸고 투자금을 갚았다”며 “그런데 임대료가 높아지니 유동성이 부족해지자 롯데카드 기업구매카드 약정을 이용해 신용공여를 확대했고, 자산유동화 전단채를 사용해서 초단기자금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신청하고 나서 롯데카드가 받지 못한 금액이 793억 원”이라며 “딜라이브, 네파, 두산공작기계, 엠에이치앤코, 홈플러스 등 MBK가 인수한 기업들은 롯데카드 기업구매카드로 신용공여를 확대했다”고 주장했다.
유 의원은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당국에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그는 “대기업들은 계열사에 자금 지원을 하게 되면 당국에 걸리지만 MBK는 사모펀드이기 때문에 법적 사각지대가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점점 어려워질수록 훨씬 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진다”며 “지금 상태에서는 (홈플러스의) 파산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삼일회계법인이 작성한 홈플러스 조사보고서를 거론하며 “홈플러스의 계속기업가치는 2조5000억 원이고 청산가치가 3조7000억 원”이라며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1조 원 이상 높으면 법원이 청산하라고 판단을 내릴 확률이 높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인수희망자가 내세우는 인수 조건에 맞추기 위해 2000억 원 (증여 약속) 빼고 어떤 노력을 했느냐”고 추가 사재출연 의향을 질의했다.
이에 김병주 회장은 “우리 법인과 개인의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며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했다.
유동수 의원은 최근 MBK가 언론에 배포한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유 의원은 “사과문을 보면 인가 전 M&A 인수인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최대 2000억 원을 홈플러스에 무상으로 추가 증여하겠다고 돼 있다”며 “인수인을 찾기 전에 홈플러스가 파산하거나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2000억 원을 증여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이 된다”고 지적했다.
윤한홍 정무위원장은 MBK측 인사들의 추가 사재출연 의지를 재차 물었다.
윤 위원장은 “M&A 밖에 길이 없다고 봅니까? 본인의 사재 출연은 아니고?”라고 물었고, 김광일 MBK부회장은 “M&A가 성사되는 것만이 살 수 있는 방법”이라고 답했다.
이에 윤 위원장은 “사재출연은 더 이상 없고, M&A 밖에 없다? 당위성만 이야기해서 되는 게 아니고 하겠다, 된다 이렇게 이야기가 나와야 되는데 그게 안 나오잖아요”라며 답답함을 피력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