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면담에서 일산대교 통행료 지원, 세월호 추모시설 건립, 선감학원 옛터 역사문화공간조성 등 15개 주요 도정에 대한 국비 증액을 건의했다. 이중 일산대교 통행료 국비지원 요청액은 200억 원이다.

도는 일산대교를 매입할 경우 5000억 원 이상의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통행료에 대한 재정 지원’쪽으로 가닥을 잡고, 내년 1월 1일부터 통행료의 50%를 도예산으로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경우 도민들은 기존 통행료의 반값에 일산대교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김 지사가 요청한 대로 200억 원의 국비지원이 더해지면 반값 통행료가 아니라 일산대교 통행료의 전면무료화가 가능해진다.
김 지사는 “안산마음건강센터는 국비와 도비 반반씩으로 하고 운영을 우리 도가 맡고 있으니 신경 써주면 감사하겠다”며 “선감학원은 피해자들에게 경기도가 위로금과 생활비를 드리고 있는데 추모 공간 조성도 굉장히 의미있다”고 밝혔다.
이날 도가 건의한 15개 주요 사업의 정부예산은 5741억 원이었지만 도는 1917억 원의 증액을 요청했다. 도의 건의가 받아들여지면 15개 사업의 국비는 7658억 원으로 늘어난다.
5개 사업을 분야별로 보면 교통 분야가 △일산대교 통행료 지원 200억 원외에 △대광위 준공영제 235억 원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263억 원 △신안산선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 297억원 △특별교통수단 운영 124억 원 등 총 5개 사업이다.
복지 분야에서는 △임산부 건강과 친환경 농산물 소비 촉진을 위한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꾸러미’ 예산(77억 원) △가족 기능 회복과 지역 돌봄 기반 강화를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비 (24억 원) 등의 예산증액을 당부했다.
안전 분야에서는 △세월호 추모시설 건립 13억 원 △선감학원 옛터 역사문화공간 조성 9억 원 외에 △안산마음건강센터 운영비 37억 원이 포함됐다. 또한 지난 여름 수해 때 약속했던 선제적 재난 예방을 위한 예산증액(‘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 정비사업’ 400억 원)도 목록에 들어갔다.

이밖에 해수부가 설계용역비를 확보하지 못해 국가어항 지정이 지연되고 있는 경기도 3개소가 국가어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국가어항 설계용역비 예산 54억 원도 목록에 포함됐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양성모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