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KT, 2G서비스 셧다운 사실상 실패..가슴앓이 깊어
상태바
KT, 2G서비스 셧다운 사실상 실패..가슴앓이 깊어
  • 김현준 기자 realpeace@csnews.co.kr
  • 승인 2011.06.06 09: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G서비스종료 예정시점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이용자의 3G전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방송통신위원회의 승인조차 감감무소식이어서 KT의 속이 타들어가고 있다.

2G서비스를 제때에 종료시키지 못할 경우 차세대 LTE서비스 일정도 늦어질 수밖에 없어 이래저래 KT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G서비스 종료, 왜?

KT는 지난 3월 열린 이사회를 통해 올해 7월 이전 2G서비스를 종료하기로 결정, 4월 18일 방통위에 '2G서비스 종료승인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동안 2G서비스용으로 이용하던 1.8㎓ 대역의 40㎒ 폭의 할당기간이 6월에 만료되기 때문에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주파수를 재할당 받아야 했다. 하지만 와이브로, LTE 등 차세대 통신망에 대한 투자부담이 큰 상황이라 KT는 수백억에 달하는 재할당 비용을 지불하는 대신 아예 2G망을 포기했다.

문제는 발표 당시까지 아직 112만명에 달하는 2G서비스 이용자들이 남아 있었다는 점. 발표 이후 KT는 남아 있는 2G서비스 이용자들의 마음을 돌리고자 각종 혜택을 부여하고 있지만 정작 반응은 시큰둥했다.

◆사실상의 실패, 원인은 무엇?

6월 말 2G서비스 종료 시점까지 한 달이 채 남지 않은 지금 KT의 3G전환 정책은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KT는 2G서비스 종료를 발표한 3월 말 이후 가입자 전환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했음에도 불구 결국 30만명을 전환시키는데 그쳤다.

3월 당시 112만4천866명이던 KT 2G서비스 가입자는 5월 말 현재 83만9천명 정도로 30만명 감소하는데 머물렀다. 더우기 그중 절반 정도가 타 통신사로 이동했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발표에 따르면 KT 2G 가입자 중 5월 한 달 동안 8만6천197명, 3월부터 계산하면 총 17만669명 만이 KT의 3G망을 선택했다. 30만명 중 13만명은 타사 3G서비스로 이동한 셈이다.

두 달 동안 갖은 노력을 했음에도 결과적으로 30만명 전환에 그침으로써 KT가 남은 기간 동안 80만명에 달하는 2G서비스 가입자들을 전환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워졌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통신업계는 애당초 무리한 계획인 데다 이후의 대책들 또한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KT는 6월 말 종료를 계획하고 있으면서도 이를 3개월 전에 급하게 발표했다. SK텔레콤이 2000년 1월 아날로그 서비스 중단을 위해 전년 3월부터 8개월동안 홍보활동을 펼쳤던 것과는 사뭇 대조적이다.

제시한 보상안도 이용자들의 눈높이를 만족시키지 못했다.

지난 4월 방통위에 '2G서비스종료승인신청서'를 제출한 KT는 이용자 보호조치로 자사 3G 서비스 전환 시 ▲24개월 동안 매월 6천원씩 통신요금을 할인, ▲7천원 가량의 USIM(범용가입자인증모듈)카드 비용 지원, ▲사용 중인 휴대폰의 잔여 할부금, 위약금 면제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이어 2년 약정하에 KT의 3G로 전환할 경우 지정된 피처폰·스마트폰을 무료로 제공하고, 타사 2G 서비스 이동을 희망하는 이용자에게는 가입비를 제공하며 휴대전화 할부 잔여금에 대해 면제해줄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같은 보상안은 사용자들의 기대에 턱없이 못미쳤다.

KT의 무분별한 독촉전화 또한 이용자들을 화나게 했다. 하루에도 수차례 3G휴대폰으로 바꾸라는 전화가 걸려왔고 그 내용 또한 "이제 2G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으니 무료로 3G휴대폰으로 바꾸시든지 아니면 다른 통신사를 선택하라"는 강압적인 내용이었기 때문.

◆기간이 지나면 어떻게 되나?

6월 말로 계획된 2G서비스 종료 일정이 사실상 무산되며 KT는 난감한 상황이다.

일단 지난 4월 방통위에 제출한 2G서비스종료승인신청서가 아직도 승인이 나지 않은 상황이다. KT가 내놓은 이용자 보호 방안이 미흡하다는 것이 그 이유다. 방통위는 이달 중 전체회의를 통해 KT 2G서비스종료안에 대해 최종결정할 예정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원칙적으로는 가입자 전환이 어느 정도 완료돼야 폐지승인이 나는 것"이라며 "이번에 승인이 난다고 하더라도 남은 이용자들이 많아 함부로 셧다운하기 어려운 처지"라고 전했다.

방통위의 입장이 '2G 이용자 보호'로 확고해진 이상 KT는 어떻게든 수정된 보상안을 제시해야만 한다. 하지만 이미 전환한 이용자들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걸려 있어 추가보상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서비스 종료일정이 연기되면 KT에게는 또 다른 어려움이 예상된다. 11월부터 계획 중인 4G LTE 망 구축을 위해 재할당받은 주파수가 현재 2G망으로 쓰고 있는 대역과 겹치기 때문.

KT는 당초 2G서비스가 종료될 것을 염두, 2G용으로 쓰고 있던 1.8GHz 주파수 40MHz 대역 중 20MHz를 LTE용으로 재할당받았다. 세계적 흐름에 비춰볼 때, 원래 방통위로부터 LTE용으로 할당받은 900MHz 대역 주파수보다는 1.8GHz 대역이 유리하기 때문.

반납한 주파수를 다시 이용하기 위해선 사용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2G서비스가 길어지면 자연히 재할당받은 20MHz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2G서비스 종료기간이 연기되는 만큼 LTE로의 전환이 늦어지게 되는 것.

KT 관계자는 "6월 말 2G서비스 종료 시점이 되지 않아 구체적으로 얘기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우리에게는 꼭 1.8GHz 말고도 LTE를 운영할 만한 주파수가 많은 상황이라 크게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전했다.

[마이경제뉴스팀/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현준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