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항공업계, 고용유지지원금 종료로 '비상'…무급휴직 전환 등 대책 강구
상태바
항공업계, 고용유지지원금 종료로 '비상'…무급휴직 전환 등 대책 강구
  • 김승직 기자 csksj0101@csnews.co.kr
  • 승인 2020.10.23 0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여파로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항공사들이 이달로 정부 고용유지지원금이 종료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깊은 고민에 빠졌다. 그동안 순환휴직, 연봉삭감 등을 통해 고용유지에 사력을 다했지만, 정부 지원금이 끊길 경우 인력구조조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올해 3월부터 국내 항공사에 지급해오던 고용유지지원금 기한이 이르면 이달 말 종료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 8월 고용유지지원금 기간을 2개월 특례 연장했지만 재정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추가 지원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항공업계는 올 초부터 진행해오던 순환휴직·인력감축 등 자구책의 강도를 더욱 높여야 할 입장에 놓였다.

아시아나항공(대표 한창수)은 다음 달부터 고용유지지원금이 종료됨에 따라 유급휴직 인원을 무급휴직으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3월부터 무급휴직·유급휴직 병행해왔다. 현재 아시아나항공 휴직자는 9000여 명의 70%인 6300여 명이다.

대한항공(대표 조원태·우기홍)은 지난 4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만 진행될 예정이었던 유급순환휴직을 오는 12월 15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대한항공은 휴직 시행일이 여타 항공사보다 늦어 12월까지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을 수 있어 가능한 조치다.

휴직 대상은 국내 직원 1만8000여 명의 70%인 1만2600여 명으로 부서별 최소 인원을 제외한 인력은 교대로 휴직해야 한다. 대한항공은 지난 6월 순환휴직과 별개로 객실 승무원의 장기 무급휴직 신청서를 받기도 했다.

이달부터 고용유지지원금이 끊기는 저비용항공사(LCC) 상황은 더욱 열악하다. 업계 1위인 제주항공(대표 김이배)은 물론 진에어(대표 최정호)·티웨이항공(대표 정홍근)·에어부산(대표 한태근)은 다음 달부터 11월과 12월 전 직원을 대상으로 무급휴직에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타항공은 지난 14일 605명의 직원을 정리해고 해 임직원 수가 500명대로 줄었다. 코로나19 여파 이전에 1680명이었던 임직원이 30% 수준으로 준 것이다.

이스타항공은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 구조조정 대상자를 재고용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사측은 추가 구조조정으로 직원을 400명대로 줄일 것으로 보여 재고용은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항공업계에선 2024년이 돼야 글로벌 항공 수요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대형항공사는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간산업안정기금에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 7월 기간산업안정기금이 마련됐을 당시 항공사들은 높은 이자 때문에 신청을 고심하는 모양새였다. 기간산업안정기금은 조달금리가 연 1~1.5%인데 반해 연간 대출금리는 5~7% 수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달 HDC현대산업개발로의 인수합병이 무산되면서 아시아나항공은 2조4000억 원의 기간산업안정기금을 지원받게 됐다. 제주항공 역시 지난달부터 기간산업안정기금 신청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은 연내 기간산업안정기금을 신청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유급휴직자를 무급휴직자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해 아직 내부 논의가 끝나지 않았다”고 말을 아꼈다.

기간산업안정기금 사용처와 투입 시기에 대해서도 내부 논의 중이어서 답변이 어렵다는 입장이었다.

이 관계자는 “향후 사업 방향과 관련해 내부에서 꾸준히 논의 중이지만 상황이 상황인 만큼 마땅한 대책을 마련하긴 어려워 보인다”며 “다만 내년 1월에 고용유지지원금을 다시 신청할 수 있어 11~12월간 현재 고용률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진에어 관계자는 “대부분 LCC가 임금삭감·무급휴직 등으로 버티고 있지만 업황이 나아지지 않아 고용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기간산업안정기금 신청 조건인 총 차입금 5000억 원 이상을 충족하지 못하는 업체가 대부분이어서 무급휴직 확대밖에 답이 없다”고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승직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