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장은 30일 닥사(DAXA) 콘퍼런스장에서 가상자산사업자 CEO들과 간담회를 열었다. 두나무, 코빗, 코인원, 스트미리 등 4개 원화거래소 CEO와 돌핀, 바우맨, 포블게이트 등 3개 코인거래소 CEO, 한국디지털에셋, 한국디지털자산수탁, 디에스알브이(DSRV) 랩스 등 3개 수탁사 CEO 등이 자리했다.

이 원장은 “가상자산은 자산 토큰화, 스테이블코인 등 혁신을 기반으로 글로벌 금융·경제 전반에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다”면서 “새 정부의 디지털자산 생태계 구축 정책과 맞물려 앞으로도 큰 폭의 성장이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과 발전은 이용자를 단순한 이익 창출의 대상이 아닌 상생과 성장을 위한 파트너로 존중할 때만 지속 가능할 수 있다”며 “가상자산이 제도권 금융상품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중심의 책임 경영을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도한 이벤트, 고위험 상품 출시 등 단기 실적에만 몰두한 왜곡된 경쟁을 지속하면 이용자의 신뢰를 잃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 원장은 “이용자 시각에서 신뢰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길임을 명심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근 불거진 가상자산거래소의 먹통 사태도 언급하면서 취약점이 보안사고로 확대된다면 많은 국민이 심각한 피해를 볼 수 있다고도 강조했다.
이 원장은 “가상자산사업자의 경쟁력은 무엇보다 IT 안전성에 그 뿌리를 둬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면서 “정부는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근절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데 가상자산 시장도 예외일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스테이블 코인, ETF 등 실물경제와의 연계 확대에 따른 리스크 관리도 당부했다.
그는 “가상자산 시장의 작은 충격이 금융·실물경제에 불안을 초래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 관리가 필요하다”면서 “스테이블코인 등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는 데 파급효과를 사전에 면밀히 분석하고 급변 등 예상치 못한 충격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달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인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