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수도권 아파트, 10채 중 8채 중소형 아파트
상태바
수도권 아파트, 10채 중 8채 중소형 아파트
  • 이경환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9.21 11: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도권 아파트 10채 중 8채 이상이 132(39형)㎡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가 수도권 아파트 3백2만9천5백31가구의 주택형 비율을 조사한 결과 중소형(132㎡ 이하) 비율이 84.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 가장 많은 주택형은 67~99㎡(20형대)와 100~132㎡(30형대)로 각각 33.7%와 39.6%를 차지했다. 이어 67㎡ 미만(10형대)은 11.5%, 133~165㎡(40형대) 10.4%, 166~198㎡(50형대) 3.3%, 199㎡ 이상(60형대 이상)은 1.6% 순이다.


서울시에서는 100~132㎡가 41.6%로 가장 많았고 67~99㎡는 30.7%인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33~66㎡ 초소형 아파트(9.4%)까지 합하면 중소형 아파트가 전체의 81.7%를 차지했다. 지역별로 살펴봤을 때 대형아파트(133㎡이상)가 가장 많은 곳은 강남권과 도심권이다. 강남권의 경우 강남 4개구 주택형의 25.9%가 대형이었으며 도심권은 21.9%였다.


 반면 강북권과 강서권은 중소형 아파트(33~132㎡)의 비중이 높다. 강북권은 99㎡ 이하가 전체의 절반 가까이인 48.1%를 차지하고 강서권은 40.1%를 기록해 강남, 도심권에 비해 소형 아파트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서울 25개 구별로 보면 132㎡ 이하 중소형 아파트의 비중은 노원구가 92.6%로 가장 높다. 이후 중랑구(92.3%), 도봉구(91.5%), 강동구(90.8%) 순이다. 반면 중소형 아파트 비중이 낮은 구는 용산구(60.6%), 서초구(66.2%), 강남구(70.7%), 송파구(72.8%) 등 이른바 부자구가 차지했다.


주택형으로 봤을 때 산본, 일산, 중동은 100~132㎡(30형대)보다 67~99㎡(20형대)가 더 많았다. 특히 67~99㎡(20형대)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산본, 일산, 중동 순이다. 또 67㎡ 미만 초소형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도 산본으로 꼽혔다. 이어 중동, 평촌 순으로 많았다. 결국 1기 신도시에서 작은 아파트는 산본과 중동에 많이 공급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분당(9.8%)과 일산(9.1%)은 초소형 아파트가 적었다.


경기도는 132㎡ 이하 중소형 아파트가 전체의 87.7%다. 이중 100~132㎡(30형대)가 43.6%로 가장 많고 67~99㎡(20형대)는 36%, 67㎡ 미만은 8.1%로 초소형 아파트는 수도권 4개 지역 가운데 가장 비율이 적었다. 경기도에서 67㎡ 미만 초소형 아파트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재건축 추진단지가 많은 과천이다.


 67㎡ 미만 아파트가 28.8%, 67㎡~99㎡ 33.4%, 100㎡~132㎡ 27.4%, 133㎡~165㎡ 8.9%, 166㎡~198㎡ 1.6%다. 반면 중대형 아파트가 많은 곳은 용인시로 99㎡ 이하 소형아파트는 21.1%에 불과하지만 100㎡~132㎡는 47.4%, 133㎡ 이상 대형아파트 비율은 31.5%나 된다. 이는 경기도 대형 아파트의 전체 평균 12.3%보다 2.5배 높을 정도로 중대형 아파트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 132㎡ 이하 중소형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은 인천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채 중 9채가 중소형 아파트로 결국 대형 아파트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서울, 신도시, 경기도와 달리 인천은 100㎡~132㎡(38.2%)보다 67㎡~99㎡(38.3%)가 더 많다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리서치연구소장은 “수도권 중소형 아파트는 전체 가구수의 85%에 달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역별로 비중에 큰 차이가 있는 만큼 앞으로 서민 주택 공급시에는 지역 수급상황을 고려한 적절한 수요 예측이 필요하다”며, “실적에 급급한 무분별한 공급은 자칫 미분양을 더욱 양산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