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케이뱅크·카카오뱅크, 2년 연속 적자 예상...인터넷전문은행 추가설립 '적신호'
상태바
케이뱅크·카카오뱅크, 2년 연속 적자 예상...인터넷전문은행 추가설립 '적신호'
  • 박관훈 기자 open@csnews.co.kr
  • 승인 2019.01.29 0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은행(대표 심성훈)과 한국카카오은행(대표 이용우·윤호영)이 출범 이후 2년 연속 적자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3분기까지 각각 580억 원과 163억 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한데 이어 4분기에도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수익 부진이 이어지면서 특례법 통과 등 인터넷은행 산업 활성화에 나선 금융당국의 고민도 커지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은산분리 이후의 후속 조치를 서둘러 내놔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 출범 2주년, 적자 폭 감소세...“2020년 흑자전환 목표”

국내 인터넷은행 산업은 지난 2017년 4월 케이뱅크, 7월 카카오뱅크가 출범하면서 시작됐다. 인터넷은행은 금리가 비교적 저렴하고, 공인인증서 없이 24시간 거래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금융소비자의 혜택을 늘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두 은행의 자산 규모는 2017년 9월 5조2000억 원에서 작년 9월 12조7000억 원으로 2.4배 증가했다. 고객은 445만 명에서 764만 명으로 늘었다.

카카오뱅크 실적.JPG
하지만 서비스 출범 이후 두 은행의 경영 실적은 ‘속 빈 강정’ 처지를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 2017년 카카오뱅크 1045억 원, 케이뱅크 838억 원의 적자를 낸 데 이어 지난해 역시 3분기까지 연속 적자 행진이다.

출범 첫 해인 2017년의 경우 서비스 구축비용과 공격적인 프로모션, 광고비, 마케팅 진행으로 영업비용이 많이 투입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카카오뱅크는 출범 이후 1년도 채 되지 않아 두 차례의 유상증자로 1조 원을 충당했다. 케이뱅크는 증자가 늦어져 한때 대출 영업에 차질을 빚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흑자 구조로 가는 과정에서 인터넷은행의 초반 실적 부진은 자연스러운 수순이라는 설명이다. 출범 후 3~5년은 적자를 감수해야 한다는 시각이 많다. 앞선 성공 사례인 미국 찰스슈왑뱅크와 일본 지분뱅크, 독일의 피도르뱅크 등도 흑자 전환까지 3~4년이 걸렸기 때문이다.

카카오뱅크 역시 지난해 2020년 기업공개(IPO) 계획을 밝히는 자리에서 IPO 이전에 흑자전환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당시 이용우 카카오뱅크 대표는 흑자전환 시점에 대해 “그 시점을 예단할 수는 없다”면서도 “IPO를 준비한다는 것은 IPO 되기 전 흑자전환이 가능하다고 예상하기 때문”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친 바 있다.

◆ 불투명한 수익성에 금융 혁신 상징 제3인터넷은행도 흥행 ‘적신호’

인터넷은행의 적자가 지속되면서 금융위원회가 추진 중인 인터넷전문은행 추가설립도 빨간불이 켜졌다.

지난해 9월 인터넷은행에 대해 산업자본의 지분 한도를 34%까지 높여주는 인터넷전문은행특례법이 국회를 통과한 뒤 금융위는 최대 두 곳의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해 신규 인가를 내주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금융위는 3월에 신청을 받은 뒤, 5월에 제3, 제4 인터넷은행 선정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새 인터넷은행은 2020년 상반기에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금융권에서는 일찌감치 키움증권과, 교보생명 등이 참여를 예고했으며 여기에 전자상거래업체인 위메프와 편의점 업계 1위인 BGF리테일 등도 눈독을 들이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주요 참여 후보로 거론됐던 네이버·인터파크·NHN엔터테인먼트 등이 잇달아 불참을 선언하는 등 인기가 예전만 못한 상황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특례법 외에는 인터넷은행을 키우겠다는 금융당국의 구체적인 계획이 보이지 않는다는 의견이다. 현 정부가 인터넷은행을 규제 혁신의 상징으로 언급한 상황에서 은산분리 이후의 후속 조치를 서둘러 내놔야 한다는 지적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국내 인터넷은행이 금융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에만 중점을 둔 반면 일본이나 유럽 등에서는 유통, 통신, 자동차, 전자 등 여러 업종과 결합한 성공 사례가 쏟아지고 있다”며 “인터넷은행이 다양한 사업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제도가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관훈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