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부의장은 “도시 재정비 과정에서 정보 부족으로 주민의 재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체계적이고 맞춤형 교육·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협성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약 3개월간 수행했다. 연구진은 경기도 내 노후도시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현재 진행 중인 주민 교육의 한계와 개선점을 제시했으며 향후 제도적 지원 강화를 위한 관련 조례 개정안을 보고했다.

이어 “가장 마음 아픈 것은 정비사업이 상당 부분 진행된 뒤에야 ‘이런 건 줄 몰랐다’라고 말씀하시는 주민들을 만날 때”라며 “이번 연구가 주민들의 억울함을 덜고 공정하고 투명한 재정비 과정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양성모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