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피할 수 있는 사망’ 지난20년간 크게 감소
상태바
‘피할 수 있는 사망’ 지난20년간 크게 감소
  • 백진주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9.01.07 09: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피할 수 있는 사망' 발생률이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송윤미, 건강의학센터 정지인 교수는 1983년부터 2004년까지의 한국인의 사망양상을 분석한 결과, ‘피할 수 있는 사망(Avoidable Death)' 발생률 및 전체 사망 중 피할 수 있는 사망이 차지하는 비율 모두 지속적으로 감소해왔다고 대한의과학회지 작년 12월를 통해 밝혔다.

‘피할수 있는 사망’이란 질환을 사전에 예방 또는 조기진단하거나 적절히 치료하면 예방할 수 있는 사망을 말한다. 

송 교수팀은 1983년부터 2004년까지의 사망원인통계연보 자료를 토대로, 사망원인을 조사했다. 기존 다른 연구들과 비교하기 위해 연구대상 사망자의 연령을 65세로 제한했고 연령표준화사망률을 계산했다.

피할 수 있는 사망의 목록은 1983년 European Community에서 발간한 European Community Atlas of "avoidable death"를 인용했다. 이 중 영아사망의 경우는 한국인에서 사망신고 누락이 많고 사인기재가 정확치 않아 제외했고, 위암과 대장직장암의 경우는 한국인에서 사망률이 높고 조기진단 및 치료효과가 잘 알려져 있어 추가해 최종 피할 수 있는 사망의 리스트를 정리했다. 

이 리스트를 세가지 군으로 분류됐다. ▲1군은 질병원인이 밝혀져 있어 적절한 예방으로 사망을 낮출 수 있는 질병, ▲2군은 조기진단 후 치료에 의해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질병 ▲3군은 적절한 시간 내에 정확히 진단되어 적절한 의료가 제공되면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질병이다.

<피할 수 있는 사망 질환 목록>

1군 : 일차예방으로 피할 수 있는 사망
구순,구강,인두,식도,후두의 악성 신생물, 간의 악성 신생물기관,기관지 및 폐의 악성 신생물, 방광의 악성 신생뇌혈관 질환, 만성 간질환 및 경변증

2군 : 조기진단 및 치료로 피할수 있는 사망
피부의 기타, 유방, 자궁경부의 악성 신생물,기타 및 상세 불명의 자궁악성신생물, 태반의 악성 신생물, 고환의 악성 신생물, 호치킨병, 위의 악성 신생물, 대장 및 직장의 악성 신생물

3군 : 적정 의료의 개입으로 피할 수 있는 사망
장관 감염병, 결핵, 비루스 간염,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백혈병, 만성 류머티스성 심질환, 고혈압성 질환, 허혈성 심질환, 폐렴, 만성 및 상세 불명의 기관지염, 폐기종, 천식, 호흡기 질환, 위십이지장 궤양, 충수염, 복강내 헤르니아, 담석증 및 담낭염, 모성사망, 심장 및 순환기계의 선천성 이상

이러한 분류를 토대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의 사망률(A)은 꾸준히 감소해왔으며 2004년의 사망률은 1983년에 비해 42.9%로 감소했고, 이중 피할 수 있는 사망(B)은 더욱 큰 폭으로 감소해 2004년의 사망은 1983년의 37.6%에 불과했다.

또한, 1983년에는 전체 사망 중 피할 수 있는 사망(B/A)이 52.0%로 일반 사망보다 더 많았으나 이후 점차 감소해 2004년에는 45.5%가 되었다.

세가지 군의 구체적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군인 일차예방으로 피할 수 있는 사망에서는 뇌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가장 현격히 감소했고 간암·만성간질환 및 간경화에 의한 사망률은 1980년대 후반까지 증가하다 1990년대 후반부터 감소하였다.

다만,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2004년도의 사망률이 1983년보다는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1970년 이후 우리나라의 흡연시작 연령이 빨라지고 일인당 흡연량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2군인 조기진단으로 피할 수 있는 사망)에서는 위암으로 인한 사망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다른 암에 비해 사망률이 높으며 유방암·대장직장암은 사망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대장직장암 사망률의 증가는 식습관의 서구화에 따른 발생률 증가를 원인으로 볼 수 있다.

3군인 적정 의료의 개입으로 피할 수 있는 사망은 감염성 질환, 호흡기 질환, 고혈압성 질환, 위십이지장 궤양으로 인한 사망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사망은 증가하고 있다.

이는 결핵, 폐렴, 인플루엔자 등과 같은 화학요법과 항생제의 발달로 관련 질병의 사망률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유럽의 다른 연구들과도 일치하는 결과다. 하지만, 허혈성 심질환 사망 증가는 진단률 증가와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한 발생률이 증가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한다.

송윤미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한국의 보건의료서비스 20년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된 것으로 연구결과를 보면 피할 수 있는 사망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보건의료서비스의 성과를 입증하는 것”이라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다만, “피할수 있는 사망의 감소폭이 적거나 일부 질환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점을 극복하기 위해 더욱 적극적인 보건의료서비스의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개선점에 대해 말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