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한미약품 당뇨 혁신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 후속 연구, 미국심장협회 '혁신연구' 선정
상태바
한미약품 당뇨 혁신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 후속 연구, 미국심장협회 '혁신연구' 선정
  • 김경애 기자 seok@csnews.co.kr
  • 승인 2021.12.08 10: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미약품이 당뇨병 혁신신약(First In Class)으로 개발하는 '에페글레나타이드(LAPS-Exd4 Analog)'의 추가 잠재력을 확인한 연구 결과가 미국 심장협회 '혁신 연구'로 선정돼 주목을 받고 있다.

한미약품(대표 권세창·우종수)은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1 미국 심장협회(AHA, American Heart Association) 연례 학술대회에서 에페글레나타이드의 대규모 글로벌 임상 3상(AMPLITUDE-O) 후속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미국심장협회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판단하는 최신 혁신연구(Late Breaker)에 선정되면서 이뤄졌다. SGLT-2 억제제 사용 여부와 무관하게 심혈관계 위험도 개선을 입증한 내용이 골자다. 연구 결과는 협회가 발행하는 심혈관계 의학저널인 Circulation(IF 29.69)에도 동시 게재됐다. 

한미약품 권세창 사장은 "GLP-1 수용체 작용제 계열 당뇨 치료제인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치료 효과가 SGLT-2 억제제 사용과 무관함을 입증해 상용화 가능성을 더욱 높였다. 혈당과 혈압,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는 물론 심혈관계 안전성까지 입증한 에페글레나타이드가 혁신신약으로 조속히 상용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국 심장협회(AHA) 발행 Circulation 지에 실린 에페글레나타이드 후속 임상 결과
▲미국 심장협회(AHA) 발행 Circulation 지에 실린 에페글레나타이드 후속 임상 결과
연구 발표는 에페글레나타이드 심혈관 안전성(CVOT, Cardiovascular Outcome Trial) 임상연구의 운영위원(Steering committee) 멤버 중 한명인 싱가포르 국립심장센터의 캐롤린 람(Carolyn S.P. Lam) 교수 주도로 진행됐다.

연구진은 "SGLT-2 억제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 모두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계 사건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나 두 약물 병용요법의 장기 효과는 평가되지 않아 SGLT-2 억제제와 에페글레나타이드의 복합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AMPLITUDE-O 연구를 추가 분석했다"고 말했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후속 연구에서 에페글레나타이드의 효능과 안전성은 SGLT-2 억제제 사용과 무관하게 나타났다. SGLT-2 억제제 미투여군과 투여군에서 위약 대비 에페글레나타이드는 심혈관계 위험도를 각각 26%, 30% 개선했다. 확장된 심혈관계 위험도도 각 23%, 13%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페글레나타이드의 혈압, 체중, 저밀도 콜레스테롤 및 요중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의 감소 효과도 SGLT-2 억제제 사용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작용은 SGLT-2 억제제 사용 유무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28개국 344개 지역에서 제2형 당뇨환자 혹은 심혈관 질환 환자 4076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AMPLITUDE-O 임상은 GLP-1 수용체 작용제인 에페글레나타이드를 매주 피하 주사할 때 주요 심혈관 사건(MACE) 위험도 및 신장질환 발생율을 유의미하게 낮춘다고 밝힌 글로벌 임상 3상 연구다. 결과는 지난 6월 미국당뇨병학회(ADA)에서 발표된 바 있다. 

지난 10월에는 글로벌 의학저널 란셋에 에페글레나타이드가 exendin-4 기반의 GLP-1 수용체 작용제로는 최초로 3-point MACE(심혈관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를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